서혈사지 석불좌상(西穴寺址 石佛坐像) - 보물 제979호 공주시 웅진동 서혈사터(西穴寺址)에서 발견된 부처상이다. 왼손은 손바닥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다리 위에 얹었고, 오른손은 무릎 위에 올리고 손가락을 살짝 들어 올린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취하고 있다. 대좌는 여덟 잎의 연..
동학사 삼층석탑(東鶴寺 三層石塔)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8호 동학사 삼층석탑(東鶴寺 三層石塔)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8호 이 탑은 청량사(남매탑이 있는 곳)에서 이곳으로 옮겨 놓은 것이다. 탑은 신라 성덕왕 22년(723)에 동학사와 함께 건립되었다고 전하나, 탑의 양식으로 보아 ..
동학사의 산내 암자, 관음암(觀音庵) 대부분의 사찰 암자는 본절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데 반해, 동학사 산내 암자인 관음암은 동학사 입구에 위치해 있다. 1600년대 옥천암으로 불리던 위치에 있는 암자로서 현재는 관음암으로 신축된 암자이다.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동학사1로 462 (학..
동학사의 산내 암자, 미타암(彌陀庵) 동학사의 산내 암자, 미타암(彌陀庵) 대부분의 사찰 암자는 본절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데 반해, 동학사 산내 암자인 미타암은 동학사 입구에 위치해 있다. 미타암은 1600년대부터 존속되어 온 산내 암자로써 예로부터 비구니 스님이 주석하며 참선. 정..
동학사의 산내 암자, 길상암(吉祥庵) 대부분의 사찰 암자는 본절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데 반해, 동학사 산내 암자인 길상암은 동학사 입구에 위치해 있다. 길상암은 6.25 한국전쟁 때 소실되었다가 1960년 이후에 중건하였다. 길상(吉祥)이란 ‘아름답고 착한 징조’라는 뜻으로 운수가 좋..
공주공산성 임류각(公州公山城 臨流閣) 이 임류각은 백제 24대 동성왕 22년(500)에 왕궁 동쪽에 지은 건물이다. 높이가 15m에 이르는 고층으로 왕과 신하들의 연회장소였을 것이라 추정된다. 1980년에 공산성 발굴조사 과정에서 임류각 터를 발견하고 1993년에 문헌기록 및 발굴조사 결과를 근..
공산성 광복루(公山城 光復樓) - 문화재자료 제50호 공산성 동쪽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2층 누락으로, 공산성 안에 주둔한 군대를 지휘하던 중군영(中軍營)의 문이었다. 원래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 옆에 있던 것을 일제강점기에 지금의 위치로 옮기고 웅심각(雄心閣)으로 불렀는데, 1946..
공산성 공산정(公山城 公山亭) 공산성 서북쪽 산마루에 있는 누각이다. 이곳에서는 유유히 흐르는 금강과 금강교(등록문화재 제232호)등 공주의 전경을 한눈에 전망할 수 있다. 특히 이곳에서 볼 수 있는 금강의 낙조(落照)와 야경(夜景)은 빼어난 아름다움을 자랑하고 있다. 누각의 명칭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