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현 객사(旌義縣 客舍) 정의현 객사(旌義縣 客舍) 정의현 객사의 주 기능은 크게 두 가지인데, 지방관이 임금에게 정기적으로 초하루와 보름에 배례(拜禮)를 올리는 곳의 기능과 중앙관리가 내려왔을 때 이곳에 머무는 숙소로서의 기능이다. 객사 건물은 이처럼 영빈관의 기능을 갖고 ..
2018년 국립제주박물관 기획특별전 '탐라(耽羅)' 국립제주박물관에서는 2018년 국립제주박물관 기획특별전 ‘탐라(耽羅)’가 2018년 9월 19일부터 2019년 1월 13일까지 기획전시실에서 전시하고 있다. 특별전 ‘탐라(耽羅)’는 서기 200~1105년 약 1,000년간 제주지역에 존재했던 고대 정치체 탐라..
삼사석(三射石) –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4호 삼사석(三射石) –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4호 탐라(耽羅)의 고을나(高乙那), 양을나(良乙那), 부을나(夫乙那) 삼신인(三神人)이 벽랑국(碧浪國)의 세 공주를 배필로 정한 뒤 각자 살 곳을 정하기 위해 활을 쏘았다. 당시 화살이 꽂혔..
삼성혈관련 유적지 ‘혼인지(婚姻址)’ 혼인지는 삼성혈(三姓穴)에서 태어난 탐라의 시조 고(高), 양(梁), 부(夫)의 삼신인(三神人)이 동쪽 바닷가에 떠밀려온 함 속에서 나온 벽랑국(碧浪國) 세공주를 맞이하여 각각 배필(配匹)을 삼아 이들과 혼례를 올렸다는 곳이다. 삼신인은 그 함 속에..
혼인지(婚姻址) 혼인지는 삼성혈(三姓穴)에서 태어난 탐라의 시조 고(高), 양(梁), 부(夫)의 삼신인(三神人)이 동쪽 바닷가에 떠밀려온 함 속에서 나온 벽랑국(碧浪國) 세공주를 맞이하여 각각 배필(配匹)을 삼아 이들과 혼례를 올렸다는 곳이다. 삼신인은 그 함 속에서 나온 송아지, 망아지..
명월성지(明月城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와 동명리 일대에 있는 성터로 명월진성은 둘레가 3천 20척, 높이가 8척이었으며, 동쪽과 남쪽 및 서쪽에 각각 성문이 있었다. 성안에는 수량이 풍부한 샘이 있었고, 건물로는 객사· 별창· 군기고 등이 있었으나 지금은 하나도 ..
제주(濟州)의 재래식 화장실 ... 통시 제주도(濟州道)는 우리나라 최남단에 위치한 섬으로 연중 온난하고 기온차가 별로 나지 않는 해양성기후를 가지고 있다. 제주도는 삼국시대에는 탐라(耽羅)라고 불려지다가 고려 말부터 오늘날 처럼 제주도로 불려지게 되었다. 제주도는 여러가지 특..
탐라국의 석상들... 섬이라는 지리적 여건으로 토속 신앙이 뿌리 깊게 전승되어 독자적인 문화권을 형성한 제주도에는 현무암으로 만든 많은 동자상이 독특한 조형미로 한국 돌조각의 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돌하르방은 우석목,무석목,옹중석이라고도 한다. 둥근 감투를 쓴 머리에 부리부리한 문,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