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역 지킴이 소나무 김천역 지킴이 소나무 이 소나무는 수령이 약 130년 되었으며 근대사의 아픈 역사가 배어 있다. 태평양전쟁 막바지에 일제의 송진채취로 소나무는 훼손 되었고, 아직도 그 상처가 아랫부분에 생생히 남아 있다. 또 이 상처가 채 아물기도 전에 6.25전쟁으로 인해 소나..
궁산 땅굴역사전시관 궁산 땅굴은? 궁산 땅굴은 태평양전쟁 말기 일제 강점기에 굴착된 곳으로, 무기나 탄약 등 군수물자를 저장하거나 김포비행장을 감시하고, 공습 때에는 부대 본부로 사용하기 위한 곳이었다고 전해진다. 이곳을 건설하기 위해 인근 지역 주민을 보국대로 강제 동원..
태평양전쟁 희생자 위령탑(太平洋戰爭 犧牲者 慰靈塔) 건립취지문 1910년 8월 29일 불행하게도 우리나라는 일제의 강점 하에 들어갔다. 그 후 일제는 침략행동을 개시하여 1931년 9월 18일 만주사변, 1937년 7월 7일 중일전쟁, 1941년 12월 8일 태평양전쟁까지 일으켰다. 한편 이 침략전쟁을 수행..
수월봉 갱도진지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군은 수월봉 뿐만 아니라 제주도 전역에 수 많은 군사시설을 만들었다. 제주도내 370여개의 오름(화산채) 가운데 갱도진지 등의 군사시설이 구축된 곳은 약 120여 곳에 이른다. 수월봉 해안에는 미군이 고산지역으로 진입할 경우 갱도에서 바다로 직..
황우지 12동굴(日本軍 陳地 窟, 일본군 진지 굴) 태평양전쟁 말기 일본은 제주를 통한 미군의 일본 본토상륙에 대비하여 제주도에 7만5천에 이르는 관동군을 배치하고 제주 전역을 요새화한다. 이 작전이 이른바 "결7호 작전"이다. 이 곳 황우지 해안에 있는 12개의 갱도는 당시 일본군이 미..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