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정사 팔각구층석탑(月精寺 八角九層石塔)-국보 제48호 높이 15.2m의 이 석탑은 고려초기 석탑을 대표하는 다각다층석탑으로 석탑 앞에는 공양하는 모습의 석조보살좌상이 마주보며 앉아 있다. 고려시대가 되면 4각형 평면에서 벗어난 다각형의 다층(多層) 석탑이 우리나라에서 주로 유행..
사람과 환경을 생각하는 '평창 성 필립보 생태마을' 아름다운 삼방산 줄기와 휘돌아 치는 평창강이 맞닿은 계곡 해발 700m 한자락에 아담히 자리잡고 있는 성 필립보 생태마을은 지구를 아끼고 가꾸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동참하는 사람들을 위한 휴식과 교육의 장소로 천주교 수원교구에..
성(聖) 필립보 생태마을 성당 아름다운 삼방산 줄기와 휘돌아 치는 평창강이 맞닿은 계곡 한자락에 아담히 자리잡고 있는 강원도 평창 성 필립보 생태마을. 해발 700m에 위치한 필립보 마을은 하나뿐인 지구를 아끼고 가꾸는 일에 관심을 가진 천주교 수원교구 소속 황창연(베네딕토)신부..
평창 성필립보(Saint Philippus) 생태마을의 백송(Pinus bungeana) 소나무과(―科 Pinaceae)에 속하는 상록 침엽교목. 백송(白松)은 중국의 희귀수종이었는데, 종자이식이 어려워 우리나라에 그리 많지 않은 나무다. 생장이 느린 백송은 10년을 자라도 지름이 손가락 굵기 정도에 그친다고 하는데, 그..
오대산 상원사(五臺山 上院寺)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오대산 산록에 아담하게 자리잡은 앉은 상원사는 목조 문수동자좌상을 모신 주 전각 문수전에 딸린 영산전과 청량선원, 범종각이 있는 소박한 사찰이다. 가람의 규모가 작은 탓에 흔히 월정사의 ‘산내 암자’쯤으로 인식되지..
상원사 동종(上院寺 銅鐘)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50(동산리)의 상원사 동종(上院寺銅鍾)은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종으로, 한국 종의 전형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구리종으로 통일신라 시대인 725년(성덕왕 24년)에 주조되었으며, 높이는 1.67m이고 입지름은 약 0.91m이다. ..
상원사 고양이 석상(上院寺 猫石像)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대한불교 조계종 제4교구 본사 월정사의 말사인 상원사 문수전 계단 옆을 유심히 보다 보면 두 개의 고양이 석상이 앉아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왜 이런 곳에 고양이 석상을 세운 걸까? 이 고양이 석상은 조선 제7대 임금인 ..
심산유곡(深山幽谷)의 평창강 “금당계곡(錦塘溪谷)”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 개수리 일대에 자리잡고 있는 금당계곡은 해발 1,173m의 금당산(錦塘山)의 서쪽 기슭을 끼고 흐르는 심산유곡이라 금당계곡(錦塘溪谷)이라 불린다.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과 용평면 대화면 사이를 굽어치는 이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