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구상나무 숲 구상나무는 한라산에는 백록담을 중심으로 해발 약 1.400m 고지 이상에서 자라며, 약 6㎢의 넓은 면적에 구상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다. 구과의 색에 따라 붉은구상, 푸른구상, 검은구상으로 불린다. 멀리서 바라보는 구상나무는 온통 푸르기만 해 이런 나무를 바라보고 ..
한라산(漢拏山) 영실(靈室)에서 윗세오름까지 한라산 영실 탐방로(漢拏山 靈室 探訪路) 한라산 탐방로 중 가장 짧은 서남쪽 탐방로이다. 영실 기암(靈室 奇巖)의 웅장한 비경을 돌아 1시간 가량 오르면 구상나무 군락을 지나 우리나라 유일의 고산초원인 선작지왓을 만난다. 봄에는 선작..
제주 조릿대(broad-leaved-bamboo) 상록성 목본으로 한라산에서 자라며 제주시 부근에도 많다. 높이 40~80cm 정도로서 털이 없고 녹색이다. 마디는 도드라지고 마디 주위가 약간 자주색이다. 초상엽은 길이 50~90mm 정도이고 끝에 열편이 있으며 기부가 둥글다. 잎은 길이 7~20cm 정도의 타원형 또는 ..
한라산(漢拏山) 병풍바위(屛風岩) 영실(靈室)에서 등산로(탐방로)를 따라 윗세오름으로 오르다 보면 서쪽 벽에 1200여 개의 바위기둥의 한데 붙어 서 있다. 마치 장삼으로 예장한 불이 공대하여 서있는 것 같다. 이 바위가 병풍바위(해발 1천300∼1천400m)다. 지질학적으로 병풍바위는 잘 발달..
한라산 영실 탐방로(漢拏山 靈室 探訪路) 한라산 탐방로 중 가장 짧은 서남쪽 탐방로이다. 영실 기암(靈室 奇巖)의 웅장한 비경을 돌아 1시간 가량 오르면 구상나무 군락을 지나 우리나라 유일의 고산초원인 선작지왓을 만난다. 봄에는 선작지왓의 털진달래와 산철쭉이 아름답고, 가을에..
서귀포(西歸浦)의 서복공원(徐福公園) 지금으로부터 약 2,200여년전인 중국 진시황(秦始皇) 때 사자(使者) 서불(徐福=徐市)이 삼신산의 하나인 한라산(영주산)에서 불로초를 구하려고 동남동녀 500쌍을 거느리고 동쪽으로 왔다가 정방폭포 암벽에 '서불과지(徐市過之)'라는 글자를 새기고 서..
서귀포 새섬 섬높이 17.7m로 사각형의 마름모꼴 모양의 섬으로 초가지붕을 잇는 억새풀인 새(茅, 모)가 많아서 "새섬"으로 불린다. 한문표기로는 초도(草島), 모도(茅島)이다. 조선조 중엽인 1600년대부터 사람이 거주하면서 이곳을 개간하여 농사를 지었으며 1960년대 중반까지는 사람이 거주..
서복전시관(徐福展示館) 중국 진시황(秦始皇) 때 사자 서불(徐福=徐市)이 삼신산의 하나인 한라산(영주산)에서 불로초를 구하려고 동남동녀 500쌍을 거느리고 동쪽으로 왔다가 정방폭포 암벽에 '서불과지(徐市過之)'라는 글자를 새기고 서쪽으로 돌아갔다고 전해지고 있다. 서복전시관은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