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 역사문화공원
-
독립운동의 아버지 홍암 나철(弘巖 羅喆) 선생국내 나들이/동상(銅像),흉상(胸像),비(碑), 2021. 12. 11. 19:12
나철(羅喆, 1863~1916) 본명은 인영(寅永). 호는 홍암(弘巖). 관향은 나주. 29세 때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권지부정자를 거쳐 33세 때 징세서장의 발령을 받았다. 그러나 곧 사퇴하고, 구국운동에 뛰어들었다가 실패한 후 민족종교운동을 시작하였다. 그가 중창한 대종교에는 다른 민족종교와는 달리 식자층들이 많이 끼어 있었고, 또 민족정신을 보존하기 위해 국조를 신앙대상으로 삼았다고 볼 수 있다. 그는 1904년 오기오(吳基鎬:1865~1916)· 이기(李沂:1814~1909) 등 호남 출신 우국지사들과 유신회를 조직했다. 그후 기울어져가는 국권을 세우기 위하여 일본에 건너간 그는 "동양평화를 위해 한·청·일 3국은 상호 친선 동맹을 맺고, 한국에 대해서는 선린의 교의로서 부조하자"는 내용을 일본..
-
국조 단군왕검 상(國祖 檀君王儉 像)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1. 12. 10. 19:09
단군왕검(壇君王儉) 초기 국가 시대 고조선의 제1대(재위 : BCE.2333∼BCE.1122) 왕 단웅(檀雄)을 아버지로 웅씨의 왕녀를 어머니로 하여 BC 2333년에 나라를 세워 아사달(阿斯達)에 도읍을 정하고 국호를 조선(朝鮮)이라 하였다. 마리산(摩璃山, 摩利山)에 제천단(祭天壇)인 참성단을 쌓고 태자(太子) 부루(扶婁)에 명하여 도산회의를 통해 우순(虞蕣)에게 오행치수법(五行治水法)을 전하였다. 도랑을 파고 밭길을 내고 누에를 치도록 하고 고기잡이를 가르쳤다. 나라를 삼한(三韓)으로 나누니, 삼한은 오가(五加) 64족을 포함하였다. 웅백다(熊百多)를 마한(馬韓)에 봉하여 달지국(撻支國)에 도읍하니 곧 백아강(白牙岡)이었다. 마한산에서 천제를 지냈다. 단군왕검이 운사(雲師) 배달신(倍達臣)에 삼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