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를 향한 암자 "금오산 향일암(金鰲山 向日庵)"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본사 화엄사 말사인 금오산 향일암(金鰲山 向日庵)은 남해 제일의 관음기도도량으로서 관세음보살은 중생들이 그 이름을 부르면 음성을 듣고(觀音)서 중생을 구제하는 구원과 희망의 모성(母性)이다. 또한 중생들..
해수관음성지 금오산 향일암(向日庵) 전남 여수시 돌산읍 율림리 7에 위치한 향일암(向日庵)은 지은 시기를 알 수 없으나 조선시대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것을 숙종 39년(1713)부터 숙종 41년(1715)까지 인묵대사가 지금 있는 자리에 다시 지어 "향일암(向日庵)"이라 부르고 있다. 현재 전하는 ..
금오산 향일암 (金鰲山 向日庵) 여수 향일암(向日庵)은 동해 낙산사 홍련암과 남해 금산 보리암, 서해 강화도 보문암과 함께 우리나라 4대 관음기도 도량에 꼽힌다. 향일암은 659년(선덕여왕 8년) 원효대사가 ‘원통암’이란 이름으로 창건했으며, 고려 제4대 광종9년(958년) 때 윤필대사가 산의 형세를 ..
향일암 관음전 (向日庵 觀音殿) 전라남도 지방문화재 제40호인 향일암(向日庵)은 여수시 돌산읍 율림리 임포 산27번지 금오산(金鰲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 화엄사의 말사이다. 금오산의 형상은 마치 거북이가 경전(經典)을 등에 지고 용궁으로 들어가는 모습과 같다고 ..
금오산 향일암(金鰲山 向日庵)..전남 문화재자료 제40호 전남 여수시 돌산읍 율림리 임포리 산7번지에 위치한 향일암은 1984년 2월 29일 전라남도문화재자료 제40호로 지정되었다. 이 절은 화엄사의 말사(末寺)로 금오산(金鰲山)이 바다와 맞닿은 가파른 언덕에 자리하고 있다. 왼쪽에는 중생..
금오산(金鰲山),금오암(金鰲庵) - 전남 여수 전라남도 남단의 돌산도에는 여수 사람들이 우리나라에서 일출 풍경이 가장 뛰어나다고 자랑하는 향일암이 있다. 향일암이란 암자의 이름부터가 해를 향해 있다는 뜻으로 이 절경의 향일암을 안고 있는 산이 금오산으로 비록 높이는 낮아도 명..
여수 금오산 향일암의 일출 (2008. 2.16,토)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