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담사(百潭寺)에 흔적을 남긴 시비(詩碑)국내 나들이/사찰(寺刹), 불교(佛敎) 2008. 10. 26. 05:27
백담사(百潭寺)에 흔적을 남긴 시비(詩碑)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기듯
스님은 입적하여 부도를 남기고, 시인은 떠난 뒤 시비를 남긴다.
김구용(金丘庸, 1922~2001) 시비
동(冬)
용(龍)트림진 고매(古梅) 등걸이 밤에 눈을 맞더니
이끼를 툴툴 떨고 하늘로 날아올라
먼 새벽의 향기인가, 꽃이 하마 피었네.김구용 선생은 어릴 때 금강산 마하연에서 한학을 수업하고 한때 계룡산 동학사 등
여러 사찰을 돌아다니며 유불선의 경전들에 묻혀 지냈다.
화엄의 도저한 사상과 선적 직관의 심미안을 통하여 시를 담아내
동양적인 초현실주의의 새로운 시적 세계를 개척하였다.
또한 서도에도 조예가 깊어 일가를 이루었다.
오세영(吳世榮, 1942.5.2 - ) 시비
강물
오 세 영
무작정
앞만 보고 가지 마라.
절벽에 막힌 강물은
뒤로 돌아 전진한다.
조급히
서두르지 마라.
폭포 속의 격류도
소(沼)에선 쉴 줄을 안다
무심한 강물이 영원에 이른다.
텅 빈 마음이 충만에 이른다.
오세영은 동양정신의 깊은 경지를 시에 잘 담아내고 있다.
그는 백담사를 자주 찾아 그의 시의 세계를 다듬고 있다.
이성선(1941~ ) 시비
나 없는 세상
나 죽어
이 세상에서 사라진다 해도
저 물 속에는
산 그림자가 여전히 혼자 뜰 것이다.
이성선은 설악산 기슭 가까운 강원도 고성에서 태어나
오랫동안 설악산과 더불어 함께 생활하며 시를 썼다.
그가 떠난 뒤 백담사에 그의 혼을 기려 시비를 세웠다.
살다 또 지쳐 순수함이 그리워지면 백담계곡을 찾을 것이다.
그리고 맑은 물가에 앉아 물 속을 들여다볼 것이다.
고은(1933~ ) 시비
그 꽃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보지 못한
그 꽃...!
고은은 일찌기 6.25 전쟁의 참혹한 민족상잔의 비극을 겪으며
정신적으로 방황하다 불교에 귀의 하여 출가하였다.
그러나 다시 세상에 환속하여 민족과 민중의 정서를 시에 잘 담아내고 있다.
허응당 보우스님(1515~1565) 시비
한적한 곳
- 허응당 보우-
암자는 겹겹 구름 속
본디 사립문도 없다네.
늦 푸른 삼나무와
저녁 햇살 어린 국화라네.
서리 맞은 열매 떨어지고
스님은 여름 지난 옷을 꿰메나니
이 한적함이 내 옛 뜻이거늘
돌아갈길 잊고 시 한편 읊네.
조선의 승려. 조선 중기 선·교(선
② 참선 선
')" onmouseout="Chartip_off()">禪교
')" onmouseout="Chartip_off()">敎) 양종을 부활시키고나라의 공인(공
')" onmouseout="Chartip_off()">公인
')" onmouseout="Chartip_off()">認) 정찰(정
')" onmouseout="Chartip_off()">淨찰
')" onmouseout="Chartip_off()">刹)을 지정하게 하며과거에 승과(승
')" onmouseout="Chartip_off()">僧과
')" onmouseout="Chartip_off()">科)를 두게 하는 등 많은 활약을 하였다.억불정책(억
')" onmouseout="Chartip_off()">抑불
')" onmouseout="Chartip_off()">佛정
')" onmouseout="Chartip_off()">政책
')" onmouseout="Chartip_off()">策)에 맞서 불교를 부흥시켜전성기를 누리게 하였으나 그의 죽음 직후 종전으로 돌아갔다.
보우스님은 조선조의 숭유억불정책으로 불법이 꺼져가던 시대에
서산, 사명 스님을 배출하여 불법의 중흥을 일으킬 수 있도록 기틀을 마련한 선사이다.
그가 일찌기 백담사에 들어와 수행하던 중에 문정황후의 초빙을 받고 여러번 사양하였으나
너무나 간곡한 청에 의해 수행을 접고 하산시를 읊은 후 상경하여 불교의 중흥의 초석을 놓았다.
매월당 김시습(1435~1493)의 시비
저물 무렵 // 매월당.김시습
천 봉우리 만 골짜기 그 너머로
한 조각 구름 밑 새가 돌아 오누나
올해는 이 절에서 지낸다지만
다음해는 어느 산 향해 떠나갈꺼나
바람 차니 솔 그림자 창에 어리고
향 스러져 스님의 방 하도 고요해
진작에 이 세상 다 끊어버리니
내 발자취 물과 구름사이 남아 있으리
조선조 500년을 통하여 가장 출중한 문재를 자랑하는 김시습은
세조의 찬위에 반대하여 생육신으로 세상을 등지고 산천을 돌며 외로운 삶을 살다 갔다.
그가 일찌기 출가하여 스님이 된 곳이 바로 내설악 오세암이다.
'국내 나들이 > 사찰(寺刹), 불교(佛敎)'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갖 두려움과 걱정을 없애 주는곳,,,시무외전(施無畏殿) (0) 2008.10.26 5세 동자의 순진 무구함이 서린 "오세암 천진관음보전" (0) 2008.10.26 백담사(百潭寺)를 방문한 사람들의 염원이 담긴 돌탑 (0) 2008.10.26 불교의 사물을 걸어놓은 누각...내설악 백담사 범종루 (0) 2008.10.25 사찰에서는 꼭 있어야 하는것은??... 범종(梵鐘) (0) 2008.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