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람의 숲"이라 불리는 국내 유일의 소사나무 군락지자연과 함께/나무(木) 2008. 12. 29. 20:48
"바람의 숲"이라 불리는 국내 유일의 소사나무 군락지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내리 산91번지 십리포 해수욕장 뒤 낮은 언덕 3,000여 평에 소사나무 350여 그루가
마치 모내기라도 한 듯 줄지어 자라고 있다. 굵은 것은 지름 50㎝, 가는 것은 허벅지 굵기 만하다. 다른 식물은 찾아볼 수 없다.
바닥엔 둥글납작한 자갈, 모래, 조개껍데기만 가득하다. 이 척박한 땅에 어떻게 나무가 뿌리내렸을까?.
이 서어나무숲(소사나무)은 우리나라 어느 지역에서도 볼 수 없는 최대의 군락지로 전국적으로 유일한
괴수목지역으로 300여본의 소사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어 가족적인 분위기 속에서 산책을 즐기며 피서를 할 수 있는 곳이다.
지금으로부터 150여년전에 내2리(내동)마을에 사는 선조들이 농업에 종사하면서 살던 중 해풍이 심해 방풍림을 심어
바람막이를 조성하려고 여러차례 걸쳐 여러 가지 나무를 심었으나 현지 토양이 모래, 자갈로 이루어져 있어 모두 고사하기 때문에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강한 서어나무를 구해 구덩이를 파고 흙을 식재한 후 정성껏 자식과 같이 가꾸었다고 전해오고 있다.
어느 나뭇가지하나 곧은 것 이 없지만 울퉁불퉁한 가지들속에 서 있으면 마치 설치예술을 보는 듯한 재미를 안겨 주기도 한다.
사실 서어나무는 목질이 고르지 못하고 단단하지도 않아 땔감외에는 별 용도가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해수욕장 그늘로는 최고다. 자라면서 넓게 퍼지는 가지에 빼곡한 잎,나무 간격이 넓음에도 그늘은 완벽하다.
텐트치기 적당한 간격과 높이, 보디빌더 같은 울퉁불퉁한 가지까지 운치가 있다. 겨울철에는 방풍막이 되고
여름철엔 시원한 그늘을 제공하여 관광객들에게 에어컨 역할을 하여 가족적인 분위기에서 산책을 즐기며
피서할 수 있는 점이 영흥도 십리포 해수욕장의 자랑거리다.
산림유전자원보호림 안내표지판
소사나무 천연보호림의 시설을 보호하자는 안내문
숲을 이렇게 키운 건 바람이다. 영흥도 소사나무 군락지. 숲은 바다와 뭍의 경계에 놓여 있다.
나무 한 그루도 똑바로 뻗지 못했다. 몸뚱이는 뭍을 향해 비스듬히 기울었고, 가지는 뒤틀릴 대로 뒤틀렸다.
큰 손으로 무른 가지를 힘주어 쥐었다 놓은 듯하다.
굵었다 가늘어지는가 하면, 군데군데 혹을 단 채 꼬여 있기도 하다.
하늘 향해 뻗어올린 가지들은 머리카락을 풀어헤친 것처럼 제멋대로 뻗었다. 숲은 그래서 음산하기까지 하다.
영흥도 소사나무 숲은 국내 유일의 소사나무 군락지다.
숲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
130여 년 전 선조들이 방풍림으로 조성했다고 내동마을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질 뿐이다.
바닷가 바로 앞이 논밭. 바람에 흙과 모래가 날아오는 걸 막으려 마을 곳곳에서 소사나무를 캐 심었다.
숲은 십리포 해수욕장 해안을 따라 400여m 길이로 띠를 이루고 있다.
이 지역 주민들은 이곳을 ‘서어나무 숲’, 또는 ‘당나무 숲’이라고 불렀다.
소사나무 군락지가 외부에 알려진 것은 1990년대 환경단체·시청 관계자들이 소문을 듣고 찾아오면서 부터다.
소사나무는 서어나무의 일종이지만 생김새가 조금 다르다.
서어나무는 10~15m 높이로 자라지만, 소사나무는 10m를 넘지 않는다. 영흥도 소사나무의 평균 키는 8m 정도.
이제 다 자란 셈이다. 서어나무보다 수피가 까칠까칠하고 잎 크기가 작다.
울퉁불퉁하고 휘고 뒤틀리기 때문에 분재로 많이 쓴다.
100여 년 세월 동안 숲엔 바람이 그치지 않았다. 한여름이라도 나무 밑에 앉으면 추워서 잠을 잘 수 없었다고 한다.
수종 자체가 울퉁불퉁한 모양이기도 하지만, 여느 소사나무보다 더 많이 휘고 뒤틀린 것은 바람의 탓이다.
바람을 막기 위해 심었고, 바람의 흔적을 몸에 감았다. 영흥도 소사나무 숲은 그래서 ‘바람의 숲’이다.
566 '자연과 함께 > 나무(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기하게도 둘이 하나되어 같이 자라는 "산사나무" 와 "버드나무" (0) 2009.06.12 살아서 천년!! 죽어서 천년!! 고산지대에 자생하는 "구상나무" (0) 2009.05.16 팔곡동 향나무 (0) 2009.03.01 한평생 꽃을 피우지않는 "나무고사리(tree fern)" (0) 2009.01.19 고혈압 당뇨병 등에 좋다는 두릅나무 (0) 2008.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