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2년 임진년(壬辰年)은 행운의 흑룡(黑龍)자연과 함께/동물(動物) 2012. 1. 3. 21:03
2012년 임진년(壬辰年)은 행운의 흑룡(黑龍)
2012년 임진년(壬辰年)은 용띠 해다.
임진(壬辰)에서 진(辰)이라는 말이 바로 12개 띠 동물 중에서도 용(龍,미르)을 뜻하기 때문이다.
용(龍)은 동아시아의 신화 및 전설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이다.
특히 중국에서는 신성한 동물, 즉 영수(靈獸)라고 하여 매우 귀하게 여겼다.
용은 영수 중에서도 특히 귀하게 여겨져,
용이 모습을 드러내면 세상이 크게 변할 전조라고 믿어졌다.
용을 보았다는 소문이 흘러나오면 황제가 점술가들을 불러
길흉을 점치게 하고 점괘가 불길하게 나오면 궁궐까지 바꾸는 일까지 있었다.
한국에서는 용을 가리켜 “미르”라는 고유어로 불렀었다.
뱀이 500년을 살면 비늘이 생기고 거기에 다시 500년을 살면 용이 되는데,
그 다음에 뿔이 돋는다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용의 모습은 중국 한나라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9가지 종류의 동물의 모습을 합성한 모습을 하고 있다.
즉, 얼굴은 낙타, 뿔은 사슴, 눈은 귀신, 몸통은 뱀,
머리털은 사자, 비늘은 물고기, 발은 매, 귀는 소와 닮았다.
입가에는 긴 수염이 나 있고 동판을 두들기는 듯한 울음소리를 낸다.
머리 한가운데에는 척수라고 불리는 살의 융기가 있는데,
이것을 가진 용은 하늘을 자유롭게 날 수 있다.
또한 등에는 81장의 비늘이 있고, 목 밑에는 한 장의 커다란 비늘을 중심으로 하여
반대 방향으로 나 있는 49장의 비늘이 있다.
이것을 역린(逆鱗)이라고 부르는데, 이곳이 용의 급소다.
이곳을 누가 건드리면 용은 엄청난 아픔을 느끼므로
미친 듯이 분노하여 건드린 자를 물어 죽인다고 한다.
그래서 다른 사람이 건드리지 않았으면 하는 곳을 건드려
화가 나게 만드는 일을 ‘역린을 건드린다.’라고 표현하게 되었다.
용은 날씨를 자유롭게 다룰 수 있는 동물이기도 하다.
마음대로 먹구름을 동반한 번개와 천둥, 폭풍우를 일으키고 물을 파도치게 할 수도 있다.
또 기분이 안 좋을 때는 인간에게 가뭄을 내려 고통을 안겨 준다고 한다.
그래서 인간들은 가뭄이 오래 지속되면 용의 기분을 풀어 비를 내리게 하기 위해 기우제를 지냈다.
또한 물고기나 뱀 등 비늘을 가진 360종류의 동물들의 조상으로,
그들이 살고 있는 물 속을 통치하는 왕으로 여겨졌다.
용은 입에서 기를 내뱉어 불꽃을 일으키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용은 신통력을 써서 하늘 꼭대기나 지하 깊은 곳까지
순식간에 도달하거나, 몸의 크기와 형태를 마음대로 바꾸는 능력도 있다.
이러한 용의 능력은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는 여의주라는 신비한 구슬을 통해 발휘한다고 여겨졌다.
이 여의주는 주인의 소원은 모두 들어주기 때문에
옛날부터 이것을 손에 넣으려는 자들이 헤아릴 수 없이 많았다고 한다.
이러한 신통력 때문에 용은 천계를 통치하는 옥활상제의 사자로 받들어졌다.
그런 까닭에 중국의 역대 황제들은 용의 위엄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
자신이 용의 혈통을 이어받았다는 전설을 만들어냈다.
황제를 용에 비유하여 황제의 얼굴을 ‘용안(龍顔),’ 황제의 옷을 ‘용포(龍袍),’
황제의 보좌를 ‘용좌(龍座),’ 황제의 눈물을 ‘용루(龍淚),’ 황제의 덕을 ‘용덕(龍德),’
황제가 타는 수레를 ‘용거(龍車)’라고 부르게 했던 이유도 여기에 있으며,
조선의 역대 군주들을 칭송한 서사시에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란 제목을 붙인 이유도 다 여기서 비롯된다.
특히 발톱이 5개인 오조룡(五爪龍)은 황제를,
발톱이 4개인 사조룡(四爪龍)은 황태자 및 제후를 상징하였다.
조선 역시 왕은 오조룡복(五爪龍服)을, 왕세자는 사조룡복(四爪龍服)을
왕세손은 삼조룡복(三爪龍服)을 입었으나, 말엽에는 모두 오조룡복으로 통일하였다.
다만 경복궁 근정전의 왕좌의 천장에는 예외적으로 발톱이 7개인 칠조룡(七爪龍)이 그려져 있다.
용은 불교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불교에서 용은 불법을 수호하는 팔부신(八部神) 중의 하나가 되어 불법을 옹호하는 존재로 받들어지고 있다.
귀신이나 난신과 같은 애매한 신을 믿어서는 안된다고 가르쳤던 공자도 용에 대해서는 경의를 표했다는 기록이 있다.
특히 2012년 임진년을 용띠 해 중에서도 '흑룡의 해'라고 부르고 있다.
띠 동물 민속전문가인 천진기 국립민속박물관장은
임진년의 '임'(壬)자를 이렇게 해석한 데서 비롯된 현상으로 설명한다.
천 관장에 따르면 12지(支) 중 '壬'은 방향으로는 북쪽이며,
계절로는 겨울, 동양의 오행설에 따르면 물(水)이고,
색깔로는 검은색(玄 또는 黑)에 해당돼 임진년을 '흑룡의 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천 관장은 "이런 해석에 따른다면
60갑자 중 5번 오는 용띠 해 중 나머지 해인 갑진년(甲辰年)은 청룡(靑龍),
병진년(丙辰年)은 적룡(赤龍), 무진년(戊辰年)은 황룡,
경진년(庚辰年)은 백룡의 해가 된다"고 말했다.
855 '자연과 함께 > 동물(動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롱초롱, 반짝반짝 고양이의 (0) 2013.09.30 물오리 가족 (0) 2013.05.26 지리산 싸릿골농원의 한우(韓牛) (0) 2011.10.13 제주 흑돼지(도새끼)와 통시(화장실) (0) 2010.02.02 진짜 돼지같이 생겼네!! (0) 2008.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