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건강 100세 시대를 선도할, 한국의 토종약초(土種藥草) 특별전시회
    국내 나들이/전시관(展示館) 2014. 6. 16. 05:23

    건강 100세 시대를 선도할,

    한국의 토종약초(土種藥草) 특별전시회

     

    농촌진흥청에서는 2014년 6월12일~20일까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관에서 제6회 ‘토종 약초 전시회’를 개최한다.

    토종 약초 전시회는 약용 식물의 가치와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쉽게 접하기 어려운

    토종 약초를 한자리에서 직접 보고 만지고 냄새를 맡으며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자 마련됐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오미자와 맥문동, 어성초, 둥굴레를 비롯한 전통 약초 자원의 실물 약초 화분 30여 점을 볼 수 있다.

    또한, 곽향 등 약용 식물 세밀화 20점, 생약 표본 40점, 약초롤 만든 건강주 15점,

    기능성 약초 제품 50점 등도 함께 전시돼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관 =

     

     

     

     

     

     

     

     

     

     

     

     

     

     

     

     

     

     

     

     

     

     

     

     

     

     

     

     

     

     

     

     

     

     

     

     

     

     

     

     

     

    큰꽃삽주

     

    맥문동

     

    작약(芍藥)

     

    참당귀

     

    인삼 5년생, 6년생

     

    배초향(藿香)

     

    잔대(사삼, 沙蔘)

     

    꽈리

     

    골담초(骨擔草)

     

    우산나물(토아산, 兎兒傘)

     

    오미자(五味子)

     

    두메부추(산구)

     

    무늬둥굴레

     

    삼백초(三白草)

     

     약모밀

     

    둥굴레(玉竹)

     

    큰개현삼(현삼, 玄參)

     

    삼지구엽초

     

    옥잠화

     

    은방울꽃(영란, 鈴蘭)

     

    울산산마늘(각총)

     

    곰취(호로칠, 葫蘆七)

     

    인삼(人蔘)

     

     

    차즈기

     

    좁쌀풀(황련화, 黃蓮花)

     

     

    개똥쑥(黃花蒿)

     

    감초(甘草)

     

    고본(藁本)

     

    노루오줌(낙신부, 落新婦)

     

    독활(獨活)

     

    넓은잎큰초롱(이엽우피소, 二葉牛皮消)

     

    고삼(苦參)

     

    눈개승마(삼나물)

     

    박하(薄荷)

     

     

    누린내풀(차지획, 叉枝獲)

     

    왜모시풀

     

    인삼(人蔘)

     

    세밀화(細密畵)

     

    식물, 동물, 곤충 등 다양한 것들이 세밀화의 대상이 되며,

    사진에 비해 생물의 미세한 특징을 더 실물답게 묘사하므로 식물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이용된다.

    최근에는 예술작품으로서 뿐만 아니라 교육자료, 홍보자료 및

    상업적으로도 이용되고 있어 새로운 분야로 평가받고 있다.

    식물세밀화는 식물을 채집하거나 각 기관을 여러 각도에서 사진을 찍고 도감 등

    각종 자료를 참고하여 그 식물만이 갖고 있는 특징을 파악한다.

    수술과 뿌리 표면의 무늬 등 육안 관찰이 어려운 부분은 현미경으로 일일이 관찰하면서 그리는데

    세밀화 1점이 완성되기까지 평균 1달이 소요된다. 일반적으로 종이에 수채화 형식으로 그리지만

    보존기간을 늘리기 위해 천을 이용해 유화나 아크릴화로 그리기도 한다.

    이 세밀화는 작가 이기수씨의 작품이다.

     

    오미자(五味子)

     

    작약(芍藥)

     

    회향(茴香)

     

    더덕(양유, 羊乳)

     

    바디나물(전호, 前胡)

     

    독활(獨活)

     

    인삼(人蔘)

     

    마(산약, 山藥)

     

    지황(地黃)

     

    황기

     

    참나리(百合)

     

    참당귀(當歸)

     

    삼구지엽초(음양곽, 淫羊藿)

     

    잇꽃(홍화, 紅花)

     

    복분자딸기(覆盆子)

     

    현삼(玄蔘)

     

    지치(자초, 紫草)

     

    도라지(길경, 桔梗)

     

    갯기름나물(식방풍, 植防風)

     

    큰조롱(백수조,白首鳥)

     

     

     

     

     

     

     

     

     

     

     

     

     

     

    1895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