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산사 나한전(金山寺 羅漢殿)국내 나들이/사찰(寺刹), 불교(佛敎) 2014. 10. 22. 04:30
금산사 나한전(金山寺 羅漢殿)
소승불교의 최고의 경지에 오른 나한에 대한 신앙을 하는 전각이다.
나한(羅漢)은 아라한(阿羅漢, Arhan)의 준말로서 의역하여
살적(殺賊), 응공(應供), 응진(應眞)이라 한다.
살적(殺賊)은 수행의 적인 모든 번뇌를 항복받아 죽였다는 뜻이며,
응공(應供)은 공양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 존경 받을 만한 사람을 의미한다.
응진(應眞)은 진리에 상응하는 이라는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나한전에는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하여
보통 5백인을 모신 오백나한전과 16나상을 모신 응진전으로 대별된다.
원래 금산사의 나한전은 방등계단과 오층석탑의 동쪽에 자리하고 있었는데,
이곳에서 계단을 참배하였기 때문에 계단예배전이라고도 불렀다.
안에는 석가여래불 본존으로 하여, 문수, 보현보살을 봉안,
또한 석가여래의 여러 제자 가운데 으뜸이라고 하는 아난과 가섭을 모셨고,
16나한상과 2인의 시자상도 목조로 조성하였다.
특히, 금산사 나한전은 꽃살문으로 되어 있는데,
빗모란연꽃살문, 솟을모란꽃살문, 솟을민꽃살문 등이 조각되어 있다.
꽃살문의 나무재질은 대부분 춘양목(春陽木)이다.
춘양목은 소나무로 재질이 단단하고 결이 부드러우며 붉은 빛을 내고
오래가도 섞지 않고 뒤틀리지 않는다.
따라서 예로부터 궁궐, 사찰을 비롯하여 큰 양반가옥은 모두 이를 재료로 지었고,
가구재에도 많이 사용되었다.
2256 '국내 나들이 > 사찰(寺刹), 불교(佛敎)'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은사 진여문(奉恩寺 眞如門)과 봉은사 목 사천왕(奉恩寺 木 四天王像) (0) 2014.10.24 금산사 원통전(金山寺 圓通殿) (0) 2014.10.23 와우정사 불두(臥牛精舍 佛頭) (0) 2014.10.21 금산사 보제루(金山寺 普濟樓) (0) 2014.10.21 와우정사(臥牛精舍)의 세계 최대 목조 와불(臥佛) (0) 2014.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