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봉은사 진여문(奉恩寺 眞如門)과 봉은사 목 사천왕(奉恩寺 木 四天王像)국내 나들이/사찰(寺刹), 불교(佛敎) 2014. 10. 24. 04:30
봉은사 진여문(奉恩寺 眞如門)과
봉은사 목 사천왕(奉恩寺 木 四天王像)
봉은사 입구에는 사천왕상을 모신 진여문이 있다.
진여문은 1939년 대화재로 소실되었다가 1982년 다시 지은 것으로 이곳에 사천왕상이 모셔져 있다.
"진여(眞如)“란 사물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 사물의 본체로서 영원불멸한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진여는 대승불교에서 말하는 이상개념(理想槪念)의 하나로서
우주 어느 곳에서나 존재하는 본체(本體)를 뜻하는 말이고 이는 거짓이 없는
진실이라는 말과 변하지 않고 머물러 있다는 뜻이 어우러져 있다.
진여문에 들어선다는 것은 곧 절대불변의 진리를 찾아감을 의미한다.
진여문 좌우에는 목조 사천왕상 각 2위씩을 모셨는데,
이 사천왕상은 조선시대 후기에 봉안한 것으로 근래 중수할 때 복장(腹藏)이 발견되었다.
1746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서울지역에 현존하는 사천왕상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봉은사 목 사천왕상(奉恩寺 木 四天王像)은 2002년 12월 26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60호로 지정되어 관리하고 있다.
증장천왕과 광목천왕
다문천왕과 지국천왕
진여문(眞如門)과 신장상(神將像)
봉은사 진여(眞如)란 사물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 사물의 본체로서 영원불멸한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진여는 우주 어느 곳에서나 존재하는 본체(本體)를 뜻하는 말이고
이는 거짓이 없는 진실이라는 말과 변하지 않고 머물러 있다는 뜻이 어우러져 있다.
진여문에 들어선다는 것은 곧 절대불변의 진리를 찾아감을 의미한다.
진여문에 들어서면 부처를 보좌하고 중생들을 이롭게 한다는 신상들이 있다.
신상(神像)은 특히 문이나 사방을 지켜주는 신장상(神將像)들이 가장 유명한데,
이들은 대개 인도 재래의 신들로서 불교에 흡수되어 불교화된 것이다.
봉은사 목 사천왕상(奉恩寺 木 四天王像)
봉은사 사천왕상은 나무인데, 원래 봉은사(奉恩寺) 천왕문(天王門) 안에 모셨던 것을
1998년 법왕루를 신축하면서 천왕문을 헐게 되자 현 위치인 진여문(眞如門)으로 옮겼다.
사천왕은 수미산(須彌山) 정상에 있는 살면서 제석천(帝釋天)을 섬기며 불법과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들을 수호하는 호법신으로 동서남북을 지키고 불법을 수호한다고 알려진 신이다.
사천왕은 갑옷을 입은 무인으로 묘사된다.
사천왕상은 대웅전을 향하여 우측으로는 비파(琵琶)를 든 북방 다문천(多聞天),
검(劍)을 든 동방 지국천(持國天), 좌측으로는 당(幢, 깃발)을 든 서방 광목천(廣目天)과
용(龍)을 든 남방 증장천(增長天)으로, 18세기 다른 사천왕들과 맥을 같이 한다.
이 사천왕상들은 동 시대의 다른 상들의 비해 입상임에도 불구하고 크기가 작고, 재질이 나무라는 것이 독특하다.
사천왕입상은 얼굴 크기에 비교하여 신체를 작게 표현하였고, 무늬는 세밀하지만 경직된 느낌을 준다.
다리의 자세 또한 일반적인 생령좌((生靈座: 동물들을 포함하여 생명이 있는 것들을 대좌로 표현한 것)가 아니고
단순한 사각형의 나무 좌대 위에 똑바로 서 있는 모양이다.
또한 다른 사천왕들이 대부분 무서운 형상을 하고 있는 것에 반해 해학적이고 친근한 모습이다.
봉은사(奉恩寺) 진여문에 있던 사천왕상을 새로 단청하기위해 2001년 11월 이운의식을 행하고
보우당으로 옮겨 단청준비를 하던 중 남방 증장천왕의 복장 덮개가 열린 것을 발견했다.
복장물(腹藏物)에서 발견된 주요 유물은 부처님 진신사리를 대신하는 ‘전신사리보협진언’ 과
사천왕에 생명을 불어넣는 후령통(喉令筒) 3개, 1746년(영조 22년)에 화원(畵員) 여찬(呂燦),
신찰(愼察), 성현(性賢),정일(淨日), 해운(海雲), 민휘(敏輝) 등이 이 상을 만들었다는 조상 발원문(發願文),
삼대재액을 소멸하는 발원이 한글로 적힌 명주 옷 일부,
특히 관심을 모은 유물은 발원문. 증명 최일(最一)스님, 화사(畵師) 여찬(呂燦)스님,
사천왕상 조성 당시 체목(體木)을 시주한 김씨·홍씨, 시주자에 종실의 제일 어른이었던
능창군(綾昌君) 이숙(李橚)부부·상궁 박필애 등의 이름이 기록돼 있기 때문이다.
봉은사 목 사천왕상은 2009년 3월 19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60호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73 봉은사 =
2265 '국내 나들이 > 사찰(寺刹), 불교(佛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산사 삼성각(金山寺 三聖閣) (0) 2014.10.25 석가모니불 팔상도(釋迦牟尼佛 八相圖))-와우정사(臥牛精舍) (0) 2014.10.24 금산사 원통전(金山寺 圓通殿) (0) 2014.10.23 금산사 나한전(金山寺 羅漢殿) (0) 2014.10.22 와우정사 불두(臥牛精舍 佛頭) (0) 2014.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