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가모니불 팔상도(釋迦牟尼佛 八相圖))-와우정사(臥牛精舍)국내 나들이/사찰(寺刹), 불교(佛敎) 2014. 10. 24. 05:28
석가모니불 팔상도(釋迦牟尼佛 八相圖)-와우정사(臥牛精舍)
석가모니 부처님의 8가지 역사적 전기로 석가팔상(釋迦八相)·팔상성도(八相成道)라고도 한다.
인도에서는 BC 2세기경에 이미 석가모니의 생애를 묘사한 불전도(佛傳圖)가 성립되었으며,
그 내용은 출생(出生)·성도(成道)·전법륜(轉法輪), 열반(涅槃)의 사상(四相)과
탁태(托胎)·출유(出遊)·출가(出家)·항마(降魔)로 모두 합쳐서 팔상(八相)이라고 한다.
팔상도(八相圖)에는 각 장면마다 공통적으로 도솔래의상(兜率來儀相)·비람강생상(毘藍降生相)·
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
녹원전법상(鹿苑轉法相)·쌍림열반상(雙林涅槃相)이라는 팔상의 명칭이 씌어 있다.
일반적으로 팔상도는 사찰의 팔상전(八相殿)이나 영산전(靈山殿)에 봉안된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해곡동 대한불교 열반종 와우정사 =
1. 도솔내의상 (兜率來儀相)
인도 가피라국 숫도다니 왕은 왕자가 없어 큰 걱정을 하던 중에 도솔천에
흰 코끼리가 인간세계에 내려오는 태몽을 마야부인이 꾸셨다.
2. 비람강생상 (毘藍降生相)
기원전 623년 4월 8일에 룸비니 동산에서 싣달타 태자께서 탄생하시어서
"하늘과 땅, 사이에 나 홀로 존귀하다 모두 고통이니 내 마땅히 이를 편안케 하리라"말씀하셨다.
3. 사문유관상 (四門遊觀相)
사대문을 나가 구경하시던 중에 사람들이 병들고, 늙고 죽은 사람을 보시고 무상함을 깨달으셨다.
네 번째 문을 나오셔서는 수행자가 편안한 얼굴로 수행을 하는 것을 보시고 마음에 편안하셨다.
4. 유성출가상 (踰城出家相)
2월 8일 한밤중에 수행자가 되리라는 뜻을 품고 부귀영화와 왕자의 자리와
아내와 자식도 버리시고 도성을 마부와 제자 몇을 데리고 떠나셨다. 이때가 29세이다.
5. 설산수도상 (雪山修道相)
설산에서 6년 동안 고행을 하시고 나서 수행은 거문고와 같이 너무 팽팽해도 줄이 끊어지고,
너무 느슨하면 소리가 안 좋은 법으로서 중도에 있어야 소리가 아름다운 법과 같이
수행도 중도의 법으로 해야한다고 생각하셨다.
6. 수하강마상 (樹下降魔相)
보리수 아래서 마구니(마귀)들의 유혹을 물리치시고 12월 8일 북두칠성을 보시고 해탈을 하셨다.
번뇌의 불은 꺼지고 고타마 싣달타는 열반에 이르시어 석가모니 부처님이 되신 것이다. 이때가 35세이다.
7. 녹원전법상 (鹿苑轉法相)
녹야원에서 최초로 인류중생을 위하여 다섯 비구니에게 처음으로 사체(四諦)와
팔정도(八正道), 그리고 십이연기(十二緣起)의 진리를 강론하셨다.
8. 쌍림열반상 (雙林涅槃相)
2월 15일. 80세에 석가모니 부처님께서는 인도 쿠시나가라사라쌍수 아래에서 대반열반경을 강론하시고
제자들에게 말씀하시길 "진리에 귀의하고 자신을 등불로 삼고 수행 정진하라"하시고 열반에 드셨다.
2268 '국내 나들이 > 사찰(寺刹), 불교(佛敎)'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불교 열반종(大韓佛敎 涅槃宗) 연화산 와우정사(蓮華山 臥牛精舍) (0) 2014.10.25 금산사 삼성각(金山寺 三聖閣) (0) 2014.10.25 봉은사 진여문(奉恩寺 眞如門)과 봉은사 목 사천왕(奉恩寺 木 四天王像) (0) 2014.10.24 금산사 원통전(金山寺 圓通殿) (0) 2014.10.23 금산사 나한전(金山寺 羅漢殿) (0) 2014.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