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천주교 어농성지(天主敎 於農聖地)
    국내 나들이/천주교(天主敎) 2015. 2. 24. 05:57

    천주교 어농성지(天主敎 於農聖地)

     

    어농성지는 조선에 입국한 첫 번째 사제인 주문모(야고보) 신부를 영입(1794년)하고,

    나라에서 금하는 천주교를 믿는 죄로 잡혀서 온갖 고문에도 불구하고 신앙을 증거하다

    장사(杖死, 때려 죽이는 형벌)로 순교하신 을묘박해(1795년) 3위의 순교자와

    주문모(야고보) 신부를 모시고 6년동안 조선교회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활동하다가 순교하신

    신유박해(1801년) 14위의 순교자를현양하는 성지이다.

    이상 17위 순교자는 현재 그 성덕을 높이 인정받아 교황청으로부터 “하느님의 종”으로 선정되었으며,

    교황청 시성성의 인준에 따라 시성시복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어농성지는 1987년 9월 15일에 김남수(안젤로) 주교에 의해 축복된 성지이며,

    2002년 8월 13일에 수원교구장 최덕기(바오로) 주교에 의해 “을묘, 신유박해 순교자 현양성지”로 선포되었다.

    현재 어농성지는 조선교회 초창기의 목자없는 교회의 서러움을 생각하며 교회의 미래인

    청소년, 청년들로 하여금 순교자들의 훌륭한 용덕을 본 받아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소명에 응답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청소년성지”로 개발하고 있다.

     

     

    어농성지 신유, 을묘박해 순교자 17위

     

    1795년 을묘박해 때 순교한 최초의 밀사 윤유일(바오로, 1760~1795),

    최인길(마티아, 1765~1795),동료 밀사 지황(사바, 1767~1795).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한 주문모(야고보, 1752~1801)신부님과 윤유일의 아우 윤유오(야고보, ?~1801),

    사촌 여동생 윤점혜(아가다, ?~1801) 동정 순교자, 윤운혜(루치아, ?~1801) , 정광수(바르나바, ?~1802) 부부 순교자,

    이들과 함께 주문모 신부님을 도왔던 우리 교회 최초의 여회장 강완숙(골롬바, 1761~1801),

    조용삼(베드로, ?~1801), 최창주(마르첼리노, ?~1801), 이중배(마르티노, ?~1801),

    원경도(요한, 1774~1801), 심아기(바르바라, 1783~1801), 정순애(바르바라, 1777~1801),

    홍필주(필립보, 1774~1801), 한덕운(토마스, 1752~1802)을 현양하기 위해 조성한 성지이다.

     

    =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어농로62번길 148 (어농리) =

     

     

     

     

     

     

     

     

     

     

     

     

     

     

     

     

     

     

     

     

     

     

     

     

     

     

     

     

     

     

     

     

     

     

     

     

     

     

     

     

     

     

     

     

     

     

     

     

     

    순교자 주문모(周文謨) 야고보 신부(1752-1801년)

     

    1752년 중국 강남성 소주에서 태어난 주문모(周文謨) 야고보 신부는 어려서 부모를 잃고 할머니 슬하에서 성장하였다.

    그러다가 스스로 천주교 신앙을 진리라고 생각하여 이를 받아들이게 되었고,

    이후 북경교구 신학교에 입학하여 제1회 졸업생으로 사제 서품을 받았다.

    당시 북경의 구베아 주교는 조선에 성직자를 파견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그는 신앙심이 깊은 데다가 조선 사람과 닮은 야고보 신부를 조선 선교사로 임명하고,

    성무 집행에 필요한 모든 권한을 부여하였다.

    야고보 신부는 1794년 2월에 북경을 떠나 약속된 장소로 가서 조선 교회의 밀사인 지황(사바)과 박 요한을 만났다.

    그러나 압록강이 얼기를 기다려야만 했기 때문에 요동 일대에서 사목을 하다가

    약속된 날짜에 다시 국경 마을로 가서 조선의 밀사들을 만났다.

    그런 다음 조선 사람으로 변장하고 12월 24일(음력 12월 3일) 밤 조선에 입국하였다.

    한양에 도착한 야고보 신부는 계동(현 서울 종로구 가회동과 계동 지역)에 있는

    최인길(마티아)의 집에 머물면서 한글을 배웠으며,

    1795년 부활 대축일에는 신자들과 함께 처음으로 미사를 봉헌하였다.

    그러나 얼마 안되어 그의 입국 사실이 탄로나게 되었고,

    그는 부랴부랴 여회장 강완숙(골롬바)의 집으로 피신해야만 하였다.

    반면에 야고보 신부의 입국을 도운 밀사 윤유일(바오로)과 집주인 최인길, 밀사 지황 등은

    그날로 체포되어 포도청에서 혹독한 형벌을 받다가 모두 순교하고 말았다.

    이때부터 주문모 야고보 신부는 아주 비밀리에, 그러나 열심히 성무를 집행하였다.

    이곳 저곳으로 다니면서 성사를 베풀었으며, 신자들의 교리 공부와

    전교 활동을 위해 명도회를 조직하였고, 교리서도 집필하였다.

    이처럼 그가 활동한 지 6년이 지나면서 조선 교회의 신자수는 모두 1만 명에 달하게 되었다.

    그러나 1801년의 신유박해가 모든 것을 앗아가고 말았다.

    박해가 일어나자 연이어 신자들이 체포되었고,

    야고보 신부의 행방을 자백하도록 강요를 받거나 죽임을 당하였다.

    이때 야고보 신부는 자기 때문에 신자들이 고통을 받는다고 생각하여

    귀국을 결심하였다가, ‘나의 양떼와 운명을 같이 해야 하겠고,

    순교함으로써 모든 불행을 막아야 한다’는 생각에서 자수를 결심하였다.

    음력 3월 11일, 야고보 신부는 스스로 박해자들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

    이내 재판이 열리고 문초가 시작되었으나,

    그는 형벌 가운데서도 침착한 자세를 잃지 않고 모든 질문에 신중하고 지혜롭게 대답하였다.

    “제가 월경죄(越境罪, 몰래 국경을 넘나드는 죄)를 두려워하지 않고 지황을 따라 조선에 온 것은

    오로지 조선 사람들을 사랑하기 때문이었습니다. ……예수님의 학문은 사악한 것이 아닙니다 

    ……남에게나 나라에 해를 끼치는 일은 십계에서 엄금하는 바이므로 절대로 교회 일을 밀고할 수 없습니다.”

    이처럼 박해자들은 자신들이 원하던 말을 한마디도 들을 수 없게 되었다.

    그러자 그들은 야고보 신부에게 군문효수형을 선고하였고,

    이에 따라 신부는 형장으로 정해진 한강 근처의 새남터로 끌려가게 되었다.

    그곳에 도착한 뒤 신부는 자신의 사형 판결문을 읽어 내려갔다.

    그리고 나서 조용히 머리를 숙여 칼날을 받으니,

    그때가 1801년 5월 31일(음력 4월 19일)로, 당시 그의 나이는 50세였다.

    신부가 순교할 당시 다음과 같은 기이한 현상이 있었다고 전한다.

    “하늘이 본래 청명하였는데, 홀연히 어두운 구름이 가득 차고 갑자기 광풍이 일어

    돌이 날리고 소나기가 쏟아져 지척을 분간할 수 없게 되었다.

    형 집행이 끝나자 바람과 비가 즉시 그치고, 하늘의 해가 다시 빛났으며,

    영롱한 무지개와 상서로운 구름이 멀리 하늘 끝에서 떠서 서북쪽으로 흩어져 버렸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