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복(徐福), 서불(徐巿)국내 나들이/동상(銅像),흉상(胸像),비(碑), 2015. 3. 18. 06:14
서복(徐福), 서불(徐巿)
서복(徐福)은 서불(徐巿)이라고도 불리며, BC 255년(제왕 10년) 진(秦)나라가 통일하기 전 제(濟)나라에서 태어났다.
서복은 고향은 진나라 당시 제군(濟郡) 황현(黃縣) 서향(徐嚮)으로 오늘날 산동성 용구시(龍口市)이다.
한편 강소성 감유현 서부촌(徐阜村)도 서복의 고향이라고 전해진다.
서복은 제나라에서 태어나 자연스레 연. 제나라의 신선사상 영향을 받아 방사(方士)가 되었다.
서복은 진시황(秦始皇)의 명을 받고 불로장생약(不老長生藥)을 찾아
3,000여명의 대선단을 거느리고 동도(東渡)하였으나,
평원광택(平原廣澤)을 얻게 되자 나라를 세우고 다시 돌아가지 않았다고 한다.
최종 정착지로 알려진 일본에서 서복은 농. 어업, 의약, 주거문화, 토기 등
야요이문화를 창달시켜 일본 경제 사회의 발전을 촉진시켰다고 한다.
서복은 선진문명을 전파한 문화의 사자(使者)로써,
한국. 중국. 일본에서는 매년 서복을 기리는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방사(方士): 천문, 의학,신선술, 점복(占卜), 상술(相術) 등을 연구하는 사람)
*평원광택(平原廣澤): 평탄한 들과 넓은 진펄
서복기사비(徐福紀事碑)
서복기사비는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진시황본기(秦始皇本記), 회남형산열전(淮南衡山列傳)에 수록된 것으로서,
서복이 시황제의 불로장생을 위해 불로초를 구하기 위하여 동도(東渡)한 내용 356자이다.
이 비문은 중국 산동성 서예가 단옥붕(段玉鵬)이 썼으며,
2008년 4월 산동성 인민정부에서 제주특별자치도와의 우호증진을 위해 기증하였다.
2713 '국내 나들이 > 동상(銅像),흉상(胸像),비(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석 이희승선생학덕추모비(一石 李熙昇先生學德追慕碑) (0) 2015.04.03 대한민국 초대 부통령, 성재(省齋) 이시영 선생(李始榮 先生) (0) 2015.03.23 귀천(천상병) (0) 2015.03.14 백범 김구선생 동상(白凡 金九先生 銅像) (0) 2015.03.14 황명걸 시비(黃明杰 詩碑) (0) 201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