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범 김구선생 동상(白凡 金九先生 銅像)국내 나들이/동상(銅像),흉상(胸像),비(碑), 2015. 3. 14. 05:03
백범 김구선생 동상(白凡 金九先生 銅像)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관리번호 10-1-11
김구(金九)선생은 1876년 황해도(黃海道) 해주(海州)에서
부친 김순영(金順永)과 모친 곽낙원(郭樂園) 사이에 외아들로 태어났다.
일찍이 동학(東學)에 입도하여 1894년 9월 탐관오리(貪官汚吏)의 척결(剔抉)과 척양척왜(斥洋斥倭)를 외치며
동학군의 선봉장으로서 해주성(海州城)을 공략하였으며, 1896년 3월에는 변복(變服)한 일본인 중위를 살해하여
사형을 언도 받았으나 광무황제(光武皇帝)의 특명으로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이후 1907년에는 독립지사들의 비밀결사인 신민회(新民會)에 가입하여 맹렬한 구국운동을 전개하였다.
1919년 3.1만세 시위로 일제의 감시와 탄압이 심해지자 상하이(上海)로 망명하여 한인애국단 등을 조직하고
이봉창(李奉昌), 윤봉길(尹奉吉) 등의 의거를 지휘하였으며, 임시정부의 주석을 역임한 후
광복 이후에는 임시정부 요인들과 함께 환국하여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결의된
신탁통치(信託統治)를 반대하는 운동을 적극 추진하였다.
1948년 4월 19일 남북협상차 평양에 다녀오는 등 민족통일을 염원하던 선생은
1949년 6월 26일 경교장(京橋莊)에서 통일을 반대하는 세력의 사주를 받은 안두희의 흉탄에 맞아 서거(逝去)하였다.
선생의 유해는 온 국민의 애도 속에 7월 5일 국민장으로 효창공원(孝昌公園)에 안장되었으며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2년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追敍)하였다.
=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1가 100-115 남산공원 백범광장 =
爲國成忠(위국성충)은 日月과 같이 千秋萬代에 기리 빛나리
백범 김구선생동상건립에 즈음하여
1969년 8월 대통령 박정희
나의 소원 / 백범 김구
“네 소원이 무엇이냐?" 하고 하나님이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내 소원은 대한 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그 다음 소원은 무엇이냐?" 하면, 나는 또"우리나라의 독립이오" 할 것이요, 또"그 다음 소원이 무엇이냐?" 하는
셋째번 물음에도, 나는 더욱 소리를 높여서"나의 소원은 우리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동포 여러분 ! 나 김구의 소원은 이것 하나밖에는 없다. 내 과거의 70 평생을 이 소원을 위해 살아왔고,
현재에도 이 소원 때문에 살고 있고, 미래에도 나는 이 소원을 달하려고 살 것이다.
독립이 없는 백성으로 70 평생에 설움과 부끄러움과 애탐을 받은 나에게는
세상에 가장 좋은 것이 완전하게 자주독립한 나라의 백성으로 살아보다가 죽는 일이다.
나는 일찍이 우리 독립 정부의 문지기가 되기를 원했거니와,
그것은 우리나라가 독립국만 되면 나는 그 나라에 가장 미천한 자가 되어도 좋다는 뜻이다.
왜 그런고 하면, 독립한 제 나라의 빈천이 남의 밑에 사는 부귀보다 기쁘고, 영광스럽고, 희망이 많기 때문이다.
옛날 일본에 갔던 박제상(朴堤上)이, "내 차라리 계림(鷄林)의 개 돼지가 될지언정
왜왕(倭王)의 신하로 부귀를 누리지 않겠다" 한 것이 그의 진정이었던 것을 나는 안다.
제상은 왜왕이 높은 벼슬과 많은 재물을 준다는 것도 물리치고 달게 죽임을 받았으니,
그것은 "차라리 내 나라의 귀신이 되리라" 함에서였다.
근래 우리 동포 중에는 우리나라를 어느 이웃나라의 연방에 편입하기를 소원하는 자가 있다 하니,
나는 그 말을 차마 믿으려 아니하거니와 만일 진실로 그러한 자가 있다 하면,
그는 제정신을 잃은 미친놈이라고 밖에 볼 길이 없다.
나는 공자·석가·예수의 도를 배웠고 그들을 성인으로 숭배하거니와,
그들이 합하여서 세운 천당·극락이 있다 하더라도 그것이 우리 민족이 세운 나라가 아닐진대,
우리 민족을 그 나라로 끌고 들어가지 아니할 것이다.
왜 그런고 하면, 피와 역사를 같이하는 민족이란 완연히 있는 것이어서
내 몸이 남의 몸이 못 됨과 같이 이 민족이 저 민족이 될 수 없는 것은,
마치 형제도 한 집에서 살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둘 이상이 합하여서 하나가 되자면 하나는 높고 하나는 낮아서,
하나는 위에 있어서 명령하고 하나는 밑에 있어서 복종하는 것이 근본문제가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일부 소위 좌익의 무리는 혈통의 조국을 부인하고 소위 사상의 조국을 운운하며,
혈족의 동포를 무시하고 소위 사상의 동무와 프롤레타리아트의 국제적 계급을 주장하여,
민족주의라면 마치 이미 진리권 외에 떨어진 생각인 것같이 말하고 있다.
심히 어리석은 생각이다. 철학도 변하고 정치·경제의 학설도 일시적이어니와 민족의 혈통은 영구적이다.
일찍이 어느 민족 안에서나 종교로, 혹은 학설로, 혹은 경제적·정치적 이해의 충돌로 두 파 세 파로 갈려서
피로써 싸운 일이 없는 민족이 없거니와, 지내어 놓고 보면 그것은 바람과 같이 지나가는 일시적인 것이요,
민족은 필경 바람 잔 뒤의 초목 모양으로 뿌리와 가지를 서로 걸고 한 수풀을 이루어 살고 있다.
오늘날 소위 좌우익이란 것도 결국 영원한 혈통의 바다에 일어나는
일시적인 풍파에 불과하다는 것을 잊어서는 아니된다.이 모양으로 모든 사상도 가고 신앙도 변한다.
그러나 혈통적인 민족만은 영원히 성쇠흥망의 공동 운명의 인연에 얽힌 한 몸으로 이 땅 위에 남는 것이다.
세계 인류가 네요 내요 없이 한 집이 되어 사는 것은 좋은 일이요, 인류의 최고요 최후인 희망이요 이상이다.
그러나 이것은 멀고 먼 장래에 바랄 것이요 현실의 일은 아니다.
사해동포(四海同胞)의 크고 아름다운 목표를 향하여 인류가 향상하고 전진하는 노력을 하는 것은 좋은 일이요
마땅히 할 일이나, 이것도 현실을 떠나서는 안되는 일이니,
현실의 진리는 민족마다 최선의 국가를 이루어 최선의 문화를 낳아 길러서 다른 민족과 서로 바꾸고 서로 돕는 일이다.
이것이 내가 믿고 있는 민주주의요, 이것이 인류의 현단계에서는 가장 확실한 진리다.
그러므로 우리 민족으로서 하여야 할 최고의 임무는,
첫째로 남의 절제도 아니 받고 남에게 의뢰도 아니하는 완전한 자주독립의 나라를 세우는 일이다.
이것이 없이는 우리 민족의 생활을 보장할 수 없을 뿐더러,
우리 민족의 정신력을 자유로 발휘하여 빛나는 문화를 세울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완전 자주독립의 나라를 세운 뒤에는,
둘째로 이 지구상의 인류가 진정한 평화와 복락을 누릴 수 있는 사상을 낳아 그것을 먼저 우리나라에 실현하는 것이다.
나는 오늘날의 인류의 문화가 불완전함을 안다.
나라마다 안으로는 정치상·경제상·사회상으로 불평등·불합리가 있고,
밖으로 국제적으로는 나라와 나라의, 민족과 민족의 시기·알력·침략, 그리고 그 침략에 대한 보복으로
작고 큰 전쟁이 그칠 사이가 없어서, 많은 생명과 재물을 희생하고도 좋은 일이 오는 것이 아니라
인심의 불안과 도덕의 타락은 갈수록 더하니, 이래 가지고는 전쟁이 그칠 날이 없어 인류는 마침내 멸망하고 말 것이다.
그러므로 인류 세계에는 새로운 생활원리의 발견과 실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야말로 우리 민족이 담당한 천직이라고 믿는다.
이러하므로 우리 민족의 독립이란 결코 삼천리 삼천만의 일이 아니라 진실로 세계 전체의 운명에 관한 일이요,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하여 일하는 것이 곧 인류를 위하여 일하는 것이다.
만일 우리의 오늘날 형편이 초라한 것을 보고 자굴지심(自屈之心)을 발하여,
우리가 세우는 나라가 그처럼 위대한 일을 할 것을 의심한다면 그것은 스스로 모욕하는 일이다.
우리 민족의 지나간 역사가 빛나지 아니함이 아니나 그것은 아직 서곡이었다.
우리가 주연배우로 세계 역사의 무대에 나서는 것은 오늘 이후다.
삼천만의 우리 민족이 옛날의 그리스 민족이나 로마 민족이 한 일을 못한다고 생각할 수 있겠는가.
내가 원하는 우리 민족의 사업은 결코 세계를 무력으로 정복하거나 경제력으로 지배하려는 것이 아니다.
오직 사랑의 문화, 평화의 문화로 우리 스스로 잘 살고 인류 전체가 의좋게 즐겁게 살도록 하는 일을 하자는 것이다.
어느 민족도 일찍이 그러한 일을 한 이가 없었으니 그것은 공상이라고 하지 말라.
일찍이 아무도 한 자가 없길래 우리가 하자는 것이다.
이 큰 일은 하늘이 우리를 위하여 남겨놓으신 것임을 깨달을 때에 우리 민족은 비로소 제 길을 찾고 제 일을 알아본 것이다.
나는 우리나라의 청년남녀가 모두 과거의 조그맣고 좁다란 생각을 버리고,
우리 민족의 큰 사명에 눈을 떠서 제 마음을 닦고 제 힘을 기르기로 낙을 삼기를 바란다.
젊은 사람들이 모두 이 정신을 가지고 이 방향으로 힘을 쓸진대 30년이 못하여
우리 민족은 괄목상대(刮目相對)하게 될 것을 나는 확신하는 바이다.
백범 선생의 동상을 세운 뜻
한국의 독립운동을 일으킨 무수한 애국지사 중에 백범 김구 선생은 어둔 밤 하늘에 만 개 별을 거느리신 북두칠성이요,
서리 찬 눈보라 속에 낙락장송을 이마에 인 태산교악의 자세였다.
선생은 나라가 광복된 후에 두동강으로 끊어진 남북을 통일하려고 노력하셨다.
그러나 통일대업을 이루지 못하신채 1949년 6월 26일 정오 철천의 한을 품고 순국하시니 우리들의 슬픈 마음 그지 없다.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는 선생의 순국 20주년을 맞이하여 만대의 사표이신 선생의 위대한 모습을 동상으로 하여 이곳에 세운다.
백대의 후생들에게 그 의로운 기풍을 본받게 하려는 뜻이다.
1969년 8월 23일 백범김구선생 기념사업협회
2695 '국내 나들이 > 동상(銅像),흉상(胸像),비(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복(徐福), 서불(徐巿) (0) 2015.03.18 귀천(천상병) (0) 2015.03.14 황명걸 시비(黃明杰 詩碑) (0) 2015.03.11 이천설봉공원(利川雪峰公園)의 시비(詩碑) (0) 2015.03.02 산 넘고 물 건너 (양주동) (0) 2015.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