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황명걸 시비(黃明杰 詩碑)
    국내 나들이/동상(銅像),흉상(胸像),비(碑), 2015. 3. 11. 05:36

     

    황명걸 시비(黃明杰 詩碑) 

     

     

    재질 화강석/ 브론즈

     

    작가: 김형준

     

    설치장소: 양평 물안개공원(2014년 9월)

     

     

     

     

     

    -지조(志操)/황명걸-

     

     

    한 포기 작은 풀일지라도

    그것이 살아 있으면

    비에 젖지 않나니

    더구나 잎이 넓은

    군자풍의 파초 임에랴

    빗방울을 데불고 논다

     

    한 마리 집오리일지라도

    그것이 살아 있으면

    물에 젖지 않나니

    더구나 몸가짐이 우아한

    왕비 같은 백조임에랴

    물살을 가르면 논다

     

    (씨알의 소리 1976. 10 발표)

     

     

     

     

     

     

     

     

     

     

     

    황명걸 시인 행장

     

    (1935~ )

     

     

    황 시인은 1935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나 1945년 정국이 불안한 남북분단 상황에서 1946년 월남하여 서울에서 자랐다.

    1955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불문학과에 입학하나 중퇴하고, 1962년 “자유문학”에 시 ‘이 봄의 미아’로 등단했다.

    60여년의 시작 활동 중 시집 ‘한국의 아이’, ‘내 마음의 솔밭’, ‘흰 저고리 검정 치마’, ‘두물머리에 서서’가 있고,

    ‘황명걸 시화집-안녕하세요, 요셉 보이스 씨’와 ‘동서고금을 아우르는 천년의 시화집 1,2’가 있다.

    대표작으로 ‘한국의 아이’를 꼽는데 그 주제는 후진적 근대조선의 위상 자각과 탈피,

    그리고 자주국가의 가치 발견과 남북분단의 극복에 두었다.

     

     

    한국의 아이/ 황명걸

     

    배가 고파 우는 아이야

    울다 지쳐 잠든 아이야

    장난감이 없어 보채는 아이야

    보채다 돌멩이를 가지고 노는 아이야

    네 어미는 젖이 모자랐단다

    네 아비는 벌이가 시원치 않았단다

    네가 철나기 전 두 분은 가시면서

    어미는 눈물과 한숨을

    아비는 매질과 술주정을

    벼 몇 섬의 빚과 함께 남겼단다

    뼛골이 부서지게 일은 했으나

    워낙 못사는 나라의 백성이라서

    하지만 그럴수록 아이야

    사채기만 가리지 않으면

    성별을 알 수 없는 아이야

    누더기옷의 아이야

    계집아이는 어미를 닮지 말고

    사내아이는 아비를 닮지 말고

    못 사는 나라에 태어난 죄만으로

    보다 더 뼛골이 부서지게

    일을 해서 멀지 않아

    네가 어른이 될 때에는

    잘 사는 나라를 이룩하도록 하여라

    멀지 않아 네가 어른이 될 때에는

    잘 사는 나라를 이룩하도록 하여라

    그리고 명심할 것은 아이야

    일가친척 하나 없는 아이야

    혈혈단신의 아이야

    너무 외롭다고 해서

    숙부라는 사람을 믿지 말고

    외숙이라는 사람을 믿지 말고

    그 누구도 믿지 마라

    가지고 노는 돌멩이로

    미운 놈의 이마빡을 깔 줄 알고

    정교한 조각을 쪼을 줄 알고

    하나의 성을 쌓아 올리도록 하여라

    맑은 눈빛의 아이야

    빛나는 눈빛의 아이야

    불타는 눈빛의 아이야

     

    황시인은 1975년 동아일보 해직기자로서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였고,

    은퇴 후 양평을 제2의 고향으로 삼아 살며 ‘두물머리에 서서’를 통해 고향 대동강 양각도를 떠올리며,

    북한강 남한강 두 물이 합수하여 한강을 이루듯 남북이 합일하여 통일을 기하기를 기원했다

     

     

     

     

     

     

     

    268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