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팔공산 동화사(八公山 桐華寺)
    국내 나들이/사찰(寺刹), 불교(佛敎) 2015. 3. 27. 20:09

    팔공산 동화사(八公山 桐華寺)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이다.

    493년(소지왕 15) 극달(極達)이 창건하여 유가사(瑜伽寺)라 하였다.

    그 뒤 832년(흥덕왕 7) 왕사 심지(心地)가 중창하였는데,

    그 때가 겨울철임에도 절 주위에 오동나무꽃이 만발하였으므로 동화사로 고쳐 불렀다고 한다.

    그러나 삼국유사에는 율사 진표(眞表)로부터 영심(永深)에게 전하였던 불간자(佛簡子)를 심지가 다시 받은 뒤,

    이 팔공산에 와서 불간자를 던져 떨어진 곳에 절을 이룩하니

    곧 동화사 참당(籤堂) 북쪽의 우물이 있는 곳이라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신라 제41대 흥덕왕의 셋째아들로 태어난 심지는 중악(中岳:팔공산)에서 수도하던 중,

    속리산 길상사(吉祥寺)에서 영심이 그의 스승 진표로부터 계법(戒法)을 전해받고

    점찰법회(占察法會)를 연다는 소식을 듣고 찾아갔으나,

    때가 늦어 당(堂)에 올라가서 참례할 수 없었으므로 땅에 엎드려서 참례하였다.

    법회 7일 만에 진눈깨비가 심하게 내렸는데 심지의 둘레 10자에는

    눈이 내리지 않았으므로 모두들 신기하게 여겨 당으로 안내하였다.

    여기서 그는 열심히 수도하여 영심으로부터 법통을 계승하는 간자를 받았다.

    그 뒤 팔공산으로 돌아와 산꼭대기에서 간자를 날려 떨어진 곳에

    절을 짓고 간자를 모셔 동화사의 개조(開祖)가 되었다고 한다.

    또한 극달의 창건연대인 493년은 신라가 불교를 공인하기 이전의 시기이므로

    공인되기 전에 법상종(法相宗)의 성격을 띤 유가사라는 사명(寺名)이 붙여졌을 까닭이 없다는 이유로

    심지가 창건한 것이 아닌가 하는 주장도 많다.

    창건 뒤 934년 선사 영조(靈照)가 중창하였고, 1190년(명종 20)지눌(知訥:普照國師)이 중창하였으며,

    1298년(충렬왕 24) 국사 홍진(弘眞)이 중건하였다.

    조선시대에는 1606년(선조 39)유정(惟政)이 중창을 하였고, 1677년(숙종 3)상숭(尙崇)이 중건하였으며,

    1732년(영조 8)관허(冠虛)·운구(雲丘)·낙빈(洛濱)·청월(晴月) 등이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들은 대부분 영조 때의 중창시에 세워진 건물로서 대웅전을 비롯하여

    연경전(蓮經殿)·천태각(天台閣)·영산전(靈山殿)·봉서루(鳳棲樓)·심검당(尋劍堂)·

    성각·산신각·응향각(凝香閣)·강생원(降生院)·원음각(圓音閣)·천안문(天安門) 등이 있다.

    또한 부속암자로는 금당암(金堂庵)·비로암(毘盧庵)·내원암(內院庵)·부도암(浮屠庵)·양진암(養眞庵)·염불암(念佛庵)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대웅전은 1606년학인(學人)이 건립한 것을 1677년상언(尙彦)이 중수하고, 1727년천순·홍재·의회가 중수하였다.

    이곳에 모셔놓은 삼존불상은 1728년에 왕준(王峻)이 만들었고,

    후불탱화는 1620년(광해군 12)에 의현(義玄)이 그린 것을 1688년에 다시 고친 것이며,

    이 밖에도 삼장탱화(三藏幀畵)·제석탱화(帝釋幀畵) 등이 있다.

    또한 대웅전 천장의 극락조(極樂鳥)는 일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절은 한때 유정이 영남도총섭으로서 승군(僧軍)을 지휘하였던 곳이며,

    서사원(徐思遠)이 격문을 지어 많은 의병들을 모집하여 훈련시키는 등 호국의 본거지가 되기도 하였다.

    민족항일기의 31본산 시대에는 55개의 사찰을 거느렸던 대본산이었으나,

    현재에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청도군·칠곡군·성주군의 4개군의 사암(寺庵)을 관장하고 있다.

    절의 주위에는 무심봉(無心峰)의 흰 구름, 제천단(祭天壇)의 소낙비, 적석성(積石城)의 맑은 달,

    백리령(白里嶺)의 쌓인 눈, 금병장(金塀莊)의 단풍잎, 부도암의 폭포, 약사봉(藥師峰)의 새벽별,

    동화사의 종소리 등 공산팔경(公山八景)이 있다.

     

    =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팔공산 동화사(八公山 桐華寺) =

     

     

     

     

     

     

     

     

     

     

     

     

     

     

     

     

     

     

     

     

     

     

     

     

     

     

     

     

     

     

     

     

     

     

     

     

     

     

     

     

     

     

     

     

     

     

     

     

     

     

     

     

     

     

     

     

     

     

     

     

     

     

     

     

     

     

     

     

     

     

     

     

     

     

     

     

     

     

     

     

     

    2765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