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인사 팔만대장경(海印寺 八萬大藏經)-81,352장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5. 9. 11. 06:16
해인사 팔만대장경(海印寺 八萬大藏經)-81,352장
1011년에 새긴 초조대장경이 1232년 몽골의 침입으로 불타버렸다.
1236년 몽골이 침입하자 불력으로 물리치고자 하는 호국불교적인 의미에서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1251년에 다시 완성하였는데, 이를 재조대장경이라고 한다.
강화도성 서문 밖의 대장경판당에 보관하다가 1398년 5월에 해인사로 옮겨졌다.
현재 남아 있는 경판은 1,516종 8만 1,258판인데 고려시대에 간행되었다고 해서 고려대장경이라고도 하고,판수가 8만여 개에 달하고 8만 4천 법문을 실었다고 하여 8만대장경이라고도 한다.
현존하는 세계의 대장경 가운데 가장 오래되었고 체재와 내용도 가장 완벽한 것으로 평가받는다.불교자료로서의 가치가 높을 뿐 아니라 고려시대 목판 인쇄술의 발달수준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유네스코에서는 1995년 팔만대장경판(국보 제22호)과
그 경판을 봉안한 대장경판전(국보 제52호)을 2007년 6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한편, 최근 문화재청에서는 지난 2000년부터 10여년간 '팔만대장경 디지털화' 사업을 진행하며 경판 수를 조사한 결과
일제강점기인 1915년 집계한 8만1천258장보다 94장 많은 8만1천352장으로 확인됐다.
3226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 도립대구병원(舊 道立大邱病院)-사적 제443호 (0) 2015.09.16 하우현성당 사제관(下牛峴聖堂 司祭館) (0) 2015.09.14 구 대구의학전문학교본관(舊 大邱醫學專門學校本館)-사적 제442호 (0) 2015.09.07 용문사 자운루(龍門寺 慈雲樓) (0) 2015.09.03 예천 용문사 대장전(醴泉 龍門寺 大藏殿)과 윤장대(輪藏臺) (0) 2015.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