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엄사 보제루(華嚴寺普濟樓)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6. 3. 8. 04:28
화엄사 보제루(華嚴寺 普濟樓)
본래 법요식(法要式) 때 승려나 신도들의 집회를 목적으로 지어진 건물로서 대웅전 앞 한 단 낮은 터에 위치하고 있다.
대웅전 쪽은 지면 위에 막돌초석을 놓아 바로 기둥을 세웠으나, 반대쪽에서는 한 단 낮은 터에 막돌초석을 놓고,
기둥을 세워 누정(樓亭) 모양으로 꾸몄다. 기둥은 민흘림이며 바닥은 모두 우물마루를 깔았다.
대웅전 쪽 창문은 7칸 모두 큰 두쪽의 빗살문을 달고 반대쪽 5칸은 판문으로 대치하였으며 좌우 양칸은 문을 생략하였다.
공포(栱包)의 양식은 초익공(初翼工) 양식이다. 이 건물의 건립시기는 1800년 이후라 생각된다.
화엄사 보제루(華嚴寺 普濟樓)는 1974년 9월 24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1 (황전리) =
화엄사 보제루 주련(華嚴寺 普濟樓 柱聯)
迦陵頻伽美妙音(가릉빈가미묘음) 가릉빈가의 아름답고 묘한 소리
俱枳羅等妙音聲(구지라등묘음성) 구지라 등의 묘한 음성
種種梵音皆具足(종종범음개구족) 여러가지 범음을 모두 갖추어
隨其心樂爲說法(수기심락위설법) 그 마음의 좋아하는 것에 따라 법을 말하네
八萬四千諸法門(팔만사천제법문) 팔만 사천의 모든 법문으로
諸佛以此度衆生(제불이차도중생) 모든 부처님이 이렇게 중생을 제도하시네
彼亦如其差別法(피역여기차별법) 저 또한 그와 같은 차별법으로
隨世所宜而化度(수세소의이화도) 세간의 마땅한 바에 따라 교화제도하네
迦陵頻伽美妙音(가릉빈가미묘음) 가릉빈가의 아름답고 묘한 소리
俱枳羅等妙音聲(구지라등묘음성) 구지라 등의 묘한 음성
種種梵音皆具足(종종범음개구족) 여러가지 범음을 모두 갖추어
隨其心樂爲說法(수기심락위설법) 그 마음의 좋아하는 것에 따라 법을 말하네
八萬四千諸法門(팔만사천제법문) 팔만 사천의 모든 법문으로
諸佛以此度衆生(제불이차도중생) 모든 부처님이 이렇게 중생을 제도하시네
彼亦如其差別法(피역여기차별법) 저 또한 그와 같은 차별법으로
隨世所宜而化度(수세소의이화도) 세간의 마땅한 바에 따라 교화제도하네
화장(華藏)
보제루 뒷문에 걸린 화장(華藏) 편액은 원래는 보제루 내부에 걸려있던 것을 글씨가 좋아 밖에 걸어놓았다.
화장(華藏)이란 청정하고 밝은 빛이 충만한 이상적인 부처님의 땅, 즉 파라다이스를 가리킨다.
연화장(蓮華藏)이란 이름으로도 불리는데, 가수 김연숙이 부른 ‘나보다 더 나를 사랑하는 임이시여’란 노랫말에 등장하기도 한다.
3646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求禮 華嚴寺 覺皇殿 앞 石燈) (0) 2016.03.09 합천 대야성(陜川 大耶城) (0) 2016.03.09 구례 화엄사 대웅전(求禮 華嚴寺 大雄殿) (0) 2016.03.07 거창 동계 종택(居昌 桐溪 宗宅) - 정온 선생 종택 (0) 2016.03.06 한천 고인돌(支石墓, 지석묘) 외 (0) 2016.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