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하르방 –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료 제2-21호국내 나들이/제주도(濟州道) 2017. 10. 25. 21:30
돌하르방 –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료 제2-21호
돌하르방 –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료 제2-21호
돌하르방이란 말은 '돌 할아버지'라는 뜻의 제주어로, 원래는 우석목, 무석목, 벅수머리, 옹중석 등으로 불렸다.
돌하르방은 성문 입구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마을의 평안과 융성을 기원하는 수호신적 기능,
벅수나 장승과 같이 사악한 것을 막아 주는 주술ㆍ종교적 기능,
성 안과 밖을 나누는 경계의 구분이나 성문 출입을 제한하는 위치 표시 및 금표적 기능 등을 지닌다.
돌하르방은 1754년(영조 30년) 김몽규 목사가 세웠다고 한다.
대정현과 정의현에는 동ㆍ서ㆍ남문 밖에 각각 4기씩 12기를 세웠으며
제주목에는 23기가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동ㆍ서ㆍ남문에 각각 8기씩 세웠으나 1기는 없어져 버린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제주도에는 45기의 돌하르방이 남아있고 2기는 국립민속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돌하르방의 평균 신장은 제주목의 것이 181.6cm, 정의현 141.4cm, 대정현 136.2cm이다.
제주목의 것은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며 음각선이 굵고 힘찬 느낌이 강한 반면,
정의현과 대정현의 것은 작고 소박한 느낌을 준다.
'국내 나들이 > 제주도(濟州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C Jeju(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 Jeju) - 제주 국제컨벤션센터 (0) 2017.12.23 제주 서귀포 외돌개 –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79호 (0) 2017.10.26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운 모습, 제주도 일출랜드 (0) 2017.10.25 조천석(朝天石) (0) 2017.10.24 성산일출봉(城山日出峰) 해양도립공원 (0) 2017.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