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대전 동춘당공원(大田 同春堂公園)
    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18. 3. 28. 23:02

    대전 동춘당공원(大田 同春堂公園)

     

    대전 동춘당공원은 약 17천평으로 송촌택지개발사업과 관련하여 동춘당 일대를 공원화 한 곳으로

    공원 후편에 운동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산림환경과 동춘당 앞 일대에 너른 마당과 연못을 조성하여

    인근 아파트 주민의 휴식 공간으로 사랑받고 있다.

    2009년부터 2010, 동춘당 명품공원화 사업을 진행하여 공원을 전반적으로 재정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대전광역시 대덕구 동춘당로 90 (송촌동)

     

     

     

     

     

     

     

     

     

     

     

     

     

     

     

     

     

     

     

     

     

     

     

     

     

    대전 동춘당 종택(大田 同春堂 宗宅) - 중요민속문화재 제289 

     

    대전 동춘당 종택은 조선 후기 기호학파의 대표적인 학자인 동춘당 송준길(1606~1672)

    5대조 송요년(1429~1499)15세기 후반 초창하였다고 전해지며,

    이후 몇 차례 이축(移築)을 거쳐 현재는 1835년 중건할 때의 모습으로 남아 있다.

    안채는 충청지역에서는 드문 자형 평면을 이루며, 6칸 대청과 양통집 구조인 날개채,

    세로로 긴 안마당 구성은 이 지역 상류주택의 특성을 나타내며,

    사랑채는 일자형으로 규모가 크고 큰사랑방과 작은사랑방이 별도의 마루방을 갖고,

    내외담을 통해 안채와의 절묘한 단면상의 조형성을 볼 수 있다.

    대전 동춘당 종택은 조선 후기 호서지역 명현인 동춘당 송준길의 종가로

    불천위(不遷位)와 기타 제례가 그대로 전승되고 있다.

     

     

     

     

    대전 회덕 동춘당(大田 懷德 同春堂) - 보물 제209 

     

    이 건물은 동춘당 송준길(同春堂 宋浚吉, 1606~1672) 선생이 아버지인 송이창이 처음 세웠던 건물을 옮겨 지은 것이다.

    동춘이란  "살아 움직이는 봄과 같아라는 뜻으로 선생은 이곳에서 독서와 교육을 하면서 인재를 양성하고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 1607~1689) 등과 함께 회덕향안(懷德鄕案)을 복원하였다.

    우리지방의 조선시대 별당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단아하면서도 간소한 건물로 작은 규모와 낮은 굴뚝 등에서

    검소한 생활을 통해 유학적 덕목을 지키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현판은 우암 송시열 선생이 썼다.

    동춘당은 굴뚝을 따로 세워 달지 않은 것이 특징인데,

    왼쪽 온돌방 아래 초석과 같은 높이로 연기 구멍을 뚫어 놓아 유학자의 은둔적 사고를 잘 표현하고 있다.

    , 따뜻한 온돌방에서 편히 쉬는 것도 부덕하게 여겼기 때문에 굴뚝을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유학적 덕목을 유지하려 했던 것이다.

     

     

     

    대전 소대헌 호연재 고택(大田 小大軒·浩然齋 古宅) - 중요민속문화재 제290

     

    대전 소대헌·호연재 고택은 조선 후기 기호학파의 대표적인 학자인 동춘당 송준길(同春堂 宋浚吉, 1606~1672)

    둘째 손자인 송병하(宋炳夏,1646~1697)1674년 분가하여 건립한 고택으로서,

    송병하의 아들 소대헌 송요화(1682~1764)1714년 이축하였다.

    소대헌 송요화의 부인 호연재 김씨(1681~1722)

    17~18세기 여류문학을 대표하는 시인으로서 한시 134수를 남겼다.

    고택은 조선 중기 대전지역의 살림집을 이해할 수 있는 건축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충청지역에서는 보기 드물게 큰 사랑채와 작은 사랑채를 동시에 갖추고 큰사랑채는 양통집이다.

    대청을 한쪽에 두는 방식이나 안채의 마루방과 툇마루 등이 전면뿐만 아니라

    사방에 다양한 크기로 배치하는 양식은 지역적 특색을 나타낸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