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 우도등대(舊 牛島燈臺) - 등대문화재 제7호국내 나들이/제주도(濟州道) 2018. 5. 8. 05:16
구 우도등대(舊 牛島燈臺) - 등대문화재 제7호
설문대할망
설문대할망은 제주를 만든 창조의 여신이며 제주를 지키는 수호신으로 오백 명의 아들을 낳았듯이 건강과 다산을 상징한다.
구 우도등대(舊 牛島燈臺) - 등대문화재 제7호
이 등탑은 우도 부근 해역을 항해하는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해
1906년에 설치하여 97년간 운영하였으나 노후되어 2003년 11월 폐지하게 이르렀다.
그러나 이 등탑은 항로표지 역사적 가치가 인정되어 원형대로 영구히 보존하게 되었다.
◇ 시설명 : 등탑
◇ 연혁
1906년 3월 무인등대로 건립 최초점등
1959년 9월 무인등대에서 유인등대로 개량
2003년 11월 등탑개량 기능폐지
◇ 기능
- 등명기 : 회전식 DCB-24R
- 전구 : 할로겐 110V-1KW
- 등질 : F1W20s(섬백광 20초 1섬광)
- 광달거리 : 지리학적 27마일(50Km), 명목적 20마일(37Km)
- 구조.높이 : 백원형 연와조 7.7m
우도 등간(牛島 燈竿)
- 등명기 : 회전식 DCB-24R
- 전구 : 할로겐 110V-1kW
- 등질 : F1W 20s(섬백광 20초 1섬광)
- 광달거리 : 지리학적 27마일(50km), 명목적 20마일(37km)
- 구조.높이 : 백원형 연와조 7.7m
제주도 최초의 등대인 우도 등간은 우도등대 점등 100년을 기념하여 2005년 12월 원형대로 복원한 것으로
1906년 3월에 점등하였으며, 그후에 전면에 있는 벽돌을 쌓아 만든 조적조 등대(구 등탑)로 변경되었다.
검멀래(黑砂, 검은 모래) 해안
제주 올레길 1-1코스(우도 올레) 우도등대(우도항로표지관리소) 능선길에서 본 검멀래 해안.
검멀래해안은 검은모래와 푸른빛 바다가 독특한 경치를 이뤄내며,
썰물일때는 걸어서 검멀래동굴(동안경굴, 東岸鯨窟)에 들어갈수 있는 곳이다.
이외에도 음식점 및 편의시설, 우도레저선착장과 우도스쿠버 등이 있다.
'국내 나들이 > 제주도(濟州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도 등대공원과 우도항로표지관리소(우도 등대) (0) 2018.05.09 비양돈(똔비양) 돈짓당 (0) 2018.05.08 비양도(飛陽島)의 봉수대(烽燧臺, 망루) - 제주 우도 (0) 2018.05.06 우도(牛島)의 봉수대(烽燧臺, 망루) (0) 2018.05.04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濟州 坪岱里 榧子林) - 천연기념물 제374호 (0) 2018.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