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문경새재 주막(酒幕)
    일상생활속에서/우리의 옛 것들.. 2018. 10. 4. 23:00


    문경새재 주막(酒幕)


    새재(鳥嶺)는 조선시대에 영남에서 한양으로 오가던 가장 큰 길로서,

    이 주막은 청운의 꿈을 품고 한양 길로 오르던 선비들, 거부의 꿈을 안고 전국을 누비던 상인들 등

    여러 계층의 우리의 선조들이 험준한 새재길을 오르다 피로에 지친몸을 

    한 잔의 술로써 여독을 풀면서 서로의 정분을 나누며 쉬어 가던 곳이다.

    산수 경관이 수려한 곳에 자리잡은 이 주막을 조국순례 자연보도사업의 일환으로

    옛 형태대로 되살려 선주(先主)들의 숨결과 전통문화의 얼을 되새겨 보고자 한다.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宿鳥嶺村店(숙조령촌점) - 새재에서 묵다.

     

    悄悄林風起(초초림풍기)

    泠泠溪響生(령령계향생)

    幽懷正迢遞(유회정초체)

    山月自分明(산월자분명)

    浮世身如寄(부세신여기)

    殘年病轉嬰(잔년병전영)

    南來還北去(남래환북거)

    簪笏愧虛名(잠홀괴허명)

        

     

    새재에서 묵다 - 서애 류성룡(西厓 柳成龍)

    살랑살랑 솔바람 불어오고

    졸졸졸 냇물소리 들려오네

    나그네 회포는 끝이 없는데

    산 위에 뜬 달은 밝기도 해라

    덧 없는 세월에 맡긴 몸인데

    늘그막 병치레 끊이질 않네

    고향에 왔다가 한양 가는길

    높은 벼슬 헛된 이름 부끄럽구나


    서애 류성룡(西厓 柳成龍)

    1542(중종 37)~1607(선조 40)] 조선 중기 학자, 문신, 본관 풍산

    호 서애(西厓), 시호 문충(文忠), 영의정 역임, 저서 징비록(懲毖錄).  



    踰鳥嶺 宿村家(유조령 숙촌가) - 金時習(김시습)


    嶺分南北與西東(영분남북여서동)

    路入靑山縹渺中(로입청산표묘중)

    春好嶺南歸不得(춘호영남귀불득)

    鷓鴣啼盡五更風(자고제진오경풍) 



    새재를 넘어 시골집에 묵다


    새재는 남북과 동서를 나누는데

    그 길은 아득한 청산으로 들어가네.

    이 좋은 봄날에도 고향으로 못 가는데

    소쩍새만 울며불며 새벽바람 맞는구나.


    김시습(金時習)

    1435(세종17)~1493(성종24), 조선전기 학자. 본관 강릉(江陵).

    호 매월당(梅月堂). 시호 청간(淸簡).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저서 금오신화(金鰲新話), 매월당집(梅月堂集)




    새재에서 묵다 (율곡 이이)


    험한 길 벗어나니 해가 이우는데

    산자락 주점은 길조차 가물가물

    산새는 바람 피해 숲으로 찾아들고

    아이는 눈 밟으며 나무 지고 돌아간다

    야윈 말은 구유에서 마른 풀 씹고

    피곤한 몸종은 차가운 옷 다린다

    잠 못 드는 긴 밤 적막도 깊은데

    싸늘한 달빛만 사립짝에 얼비치네.


    宿鳥嶺(숙조령) -  栗谷 李珥(율곡 이이) 


    登登涉險政斜暉(등등섭험정사휘)

    小店依山汲路微(소점의산급로미)

    谷鳥避風尋樾去(곡조피풍심월거)

    邨童踏雪拾樵歸(촌동답설습초귀)

    羸驂伏櫪啖枯草(이참복력담고초)

    倦僕燃松熨冷衣(권복연송위랭의)

    夜久不眠羣籟靜(야구불면군뢰정)

    漸看霜月透柴扉(점간상월투시비)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