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 정보
    국내 나들이/능, 원, 묘(陵 園 墓) 2019. 1. 20. 04:30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 정보










    조선왕릉의 형식


    조선왕릉은 기본적으로 유교예법에 근거한 상설제도에 따라 공간이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봉분의 조성형태에 따라 형태적 차별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형식은 크게 단릉, 쌍릉, 합장릉, 동원이강릉, 동원상하릉, 삼연릉의 여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단릉(單陵)

    단릉은 왕과 왕비의 봉분을 단독으로 조성한 능이다.

    대표적으로 태조 건원릉, 단종 장릉, 중종 정릉 등 15기의 능이 있다.


    쌍릉(雙陵)

    쌍릉은 왕과 왕비의 봉분을 하나의 곡장 안에 나란히 조성한 능으로,

    우상좌하(右上左下, 오른쪽에 왕, 왼쪽에 왕비)의 원칙에 따라 조성하였다.

    대표적으로 명종 강릉, 영조 원릉, 철종 예릉 등 9기의 능이 있다.


    합장릉(合葬陵)

    합장릉은 왕과 왕비를 하나의 봉분에 합장한 능이다.

    영조 이전의 합장릉은 혼유석을 2좌씩 배치하였으나 영조 이후에는 혼유석을 1좌씩 배치하였다.

    대표적으로 세종 영릉, 인조 장릉, 정조 건릉 등 8기의 능이 있다.

    특이하게 순종황제 유릉은 황제와 황후 두 분을 하나의 봉분에 합장한 동봉삼실(同封三室) 합장릉이다.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

    동원이강릉은 같은 능역에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봉분과 상설을 조성한 능이다.

    최초의 동원이강릉은 세조 광릉이며, 예종 창릉, 성종 선릉 등 7기의 능이 있다.

    특이하게 선조 목릉은 세 개의 서로 다른 언덕(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에 별도의 봉분을 조성하였고,

    숙종 명릉은 쌍릉(숙종과 인현왕후)과 단릉(인원왕후)의 형태로 서로 다른 언덕에 봉분을 조성하였다.


    동원상하릉(同原上下陵)

    동원상하릉은 한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위 아래로 조성한 능으로,

    능혈의 폭이 좁아 왕성한 기가 흐르는 정혈(正穴)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풍수지리적인 이유로 조성하였다.

    효종 영릉과 경종 의릉 2기가 해당되며, 왕의 능침에만 곡장을 둘렀다.


    삼연릉(三連陵)

    삼연릉은 한 언덕에 왕과 두 명의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능으로, 헌종 경릉이 유일하다.

    우상좌하(右上左下)의 원칙에 따라 오른쪽(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에 왕을 모시고,

    첫 번째 왕비(효현성황후)와 두 번째 왕비(효정성황후)를 순서대로 모셨다.

     

    단릉 형식은 태조 건원릉부터 시작하여 조선 중기까지 나타나며 18세기 이후에는 거의 볼 수 없다.

    쌍릉 형식은 조선시대 전반적으로 고르게 나타나며,

    동원이강릉 형식은 세조 광릉을 시작으로 15세기에만 집중되었을 뿐 이후에는 볼 수 없다.

    합장릉의 형식은 18세기 이후에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능역 조성시 소요되는 경비와 인력을 절감하기 위해서이다.

    그 밖에 풍수적인 입지와 공간적으로 협소하여 동원상하릉의 형식과 삼연릉 형식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