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경순왕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7세손 태사공(太師公) 영단(靈壇)
    국내 나들이/동상(銅像),흉상(胸像),비(碑), 2021. 11. 27. 19:03

    경순왕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7세손 태사공(太師公) 영단(靈壇)

     

    高麗輔國大安君侍中侍郞 平章事慶州金公諱殷說 之靈壇碑

    고려보국대안군시중시랑 평장사경주김공휘은열 지영단비

     

     

     

    高麗國文純公檢校 太師慶州金公諱仁琯 之靈壇碑

    고려국문순공검교 태사경주김공휘인관 지영단비

     

     

     

    高麗輔國大安君侍中侍郞 平章事慶州金公諱殷說 妣國大夫人慶州崔氏 之靈壇

    고려보국대안군시중시랑 평장사경주김공휘은열 비국대부인경주최씨 지영단

     

    高麗國文純公檢校 太師慶州金公諱仁琯 配小國夫人利川徐氏 之靈壇

    고려국문순공검교 태사경주김공휘인관 배소국부인이천서씨 지영단

     

     

     

    靈壇奉安紀念碑(영단봉안기념비)

     

    輔國(보국) 大安君(대안군)은 貫祖(관조)시며 名賢祖(명현조)시고

    太師公(태사공)은 派祖 一世(파조 1세)시며 名賢(명현)이신데

    奉祀(봉사)함에 있어 高麗朝(고려조)에는 봉사했는지 모르나

    朝鮮朝(조선조) 以來(이래) 于今(우금)까지 奉祀(봉사)한 事蹟(사적)이 없다.

    始遠祖(시원조)께 崇敬之誠(숭경지성)이 稀薄(희박)하여 根本(근본)을 忘却(망각)한

    得罪罔極(득죄망극)함을 覺醒(각성)하여 靈壇奉安(영단봉안)하자는 發議(발의)에

    後孫(후손)들이 熱誠(열성)으로 雄大(웅대)한 靈壇(영단)이 謹竪(근수)되고

    辛巳(신사) 10월 20일에 歷史的(역사적)인 初有(초유)의 奉安祭(봉안제)를 奉行(봉행)하였고

    今後(금후) 매년 3월 4일에 香祀(향사)할 것이다.

     

    此(차)를 紀念(기념)하기 위하여 立石(입석)을 하고

    玆(자)에 獻誠金(헌성금)을 協助(협조)한 後孫(후손)들의 名單(명단)을

    刻記(각기)하여 後世(후세)에 繼承(계승)하고자 하는 바이다.

     

    西紀 2002年 壬午 三月 慶州金氏太師公派宗會建立(경주김씨태사공파종회건립)

     

     

     

    경순왕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7세손 태사공(太師公) 영단(靈壇)

     

    경순왕께서는 슬하에 9남 3녀를 두셨다. 3남 1녀는 죽방왕후 박씨 소생이고,

    5남 2녀는 낙랑공주 왕씨 효목왕후 소생이다. 1남은 별빈 순흥안씨 소생이다.

    대안군 김은열(金殷說, ?~968)은 경주김씨 시조 김알지(金閼智)의 29세손으로

    경순왕의 넷째 아들로 낙랑공주 왕씨 효목왕후의 큰아들이다.

    고려 태조 20년(서기 937)에 탄생 현종 19년(서기 1028) 향수(享壽) 91세에 서거하시고

    시중시랑(侍中侍郞, 정4품), 평장사(平章事, 정2품), 시중(侍中, 정1품)을 하셨다.

     

    태사공 김인관(金仁琯)은 경주김씨 시조 김알지의 34세손으로 경순왕의 7세손이다.

    고려 예종 5년(서기 1110) 과거에 장원급제 연괴(壯元及第連魁) 하였다.

     

    과거 과목은 시부(詩賦), 책(策), 제술(製述)로, 시(詩)는 시문(詩文)을 작성하는 것이고,

    부(賦)는 제목을 부여하고 문장(文章)을 작문하는 것이며, 책(策)은 책문(策文)에 답하는 것이고,

    제술(製述)은 논리적으로 논술(論述)하는 것으로

    전 과목(全 科目) 장원(壯元)을 장원급제 연괴(壯元及第連魁)라 한다.

    왕(王)께서 친히 금화모(金花帽)를 씌어주고, 홍정(紅鞓)과 홍패(紅牌)와

    말(馬) 한 필을 내리고 허 착전(許着田) 농지 20결(2만여 평)을 하사(下賜) 하시었다.

    고려 예종 10년(서기 1115) 요나라 낙기복사례사(落起復射禮使),

    경사사례사(慶事射禮使)를 다녀오고 태자태사(종1품), 검교태사(정1품)를 하셨다.

    영단(靈壇)이란 신위(神位)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제단(祭壇)이다.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고랑포리 산 18-1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