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등록문화재, 서울 보화각(葆華閣) - 간송미술관
    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5. 14. 20:10

    등록문화재, 서울 보화각

     

    ‘서울 보화각(1동, 274㎡)’은 간송 전형필 선생(1906〜1962)이

    우리나라 전통미술품 등 유물 보존 및 활용을 위해 1938년 건립한 사립미술관으로

    건축가 박길룡(1898〜1943)이 설계한 모더니즘 양식의 건축물이다.

    일제강점기 사회적으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다수의 문화유산이

    멸실 위기 속에서 보전될 수 있도록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장소로서 역사적 의미가 크다.

     
     
     
     

    간송 전형필 선생 상(澗松 全鎣弼 先生 像)

     

    문화재는 겨레의 슬기의 맺힘이며 인류를 길이 빛내는 빛이다.

    간송 전형필 선생(1906~1962) 은 밝은 눈과 둥근 마음과 지극한 뜻으로

    귀하고 보배로운 민족 문화재들을 널리 모으시고 깊이 마음에 새기시며

    1934년에 이곳 성북동의 북단장(北壇莊)을 여시고 38년에 보화각(葆華閣)을 지으시어

    오늘의 한국민족미술연구소와 간송미술관의 기틀을 갖추시었다.

    또 동성학원(東成學園)을 세워 보성(普成) 중고등학교를 중흥시키었다.

    1906년 7월 29일 서울 종로 4가 104번지에서 나시어

    1962년 1월 26일 그곳 이현서옥(梨峴書屋)에서 너무나 아까이 세상을 떠나시었다.

    澗松 선생 탄신 90주년을 기념하여 이곳에 뜻을 모아 선생의 그리운 모습을 받들어 모신다.

     

    더없이 보배로운 문화재들

    선생의 멀고 깊은 뜻이 더욱 길이 빛난다

    더없이 보배로운 문화재들

    널리 사람들 마음에 값진 빛 두루 비친다

    1996년 11월 2일

     

    조각 최의순(崔義淳), 제자 여초 김응현(如初 金膺顯), 글 이흥우(李興雨)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삼층석탑(三層石塔)

     

    시대 : 고려시대

    화강암으로 조성된 소형의 석탑으로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과 상륜부를 갖추었다.

    탑신을 받치고 있는 2층의 기단부 중 하층 기단의 받침돌은 근래에 만든 것이다.

    상층 기단의 중간 돌(中石) 아래에는 엎어놓은 연꽃무늬를 새기고

    위에는 솟은 연꽃무늬를 조각하여 마치 대좌 위에 탑신을 올려놓은 듯하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다른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돌의 네 모서리에는 모두 기둥모양이 조각되어 있다.

    1층 탑신은 높은 반면 2층과 3층 탑신은 1층 탑신에 비해 높이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의 받침이 표현되었으며, 처마 밑은 수평이지만

    윗면의 네 귀퉁이가 약간 위로 들려있어 경쾌한 느낌을 준다.

    상륜부는 하나의 돌로 구성된 노반(露盤)과 복발(覆鉢) 만이 남아있고 나머지는 모두 소실되었다.

    이 탑은 전반적으로 탑신부의 짜임새가 간결하고 아담하며,

    탑신의 1층 몸돌이 2층과 3층에 비해 지나치게 크고 지붕돌 받침이 3단인 점,

    기단부에 연꽃이 장식된 점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추정된다.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石造 毘盧舍那佛坐像)

     

    시대 : 고려시대 초기(추정)

    3단의 사각형 대좌 위에 앉아있는 비로자나불상으로 화강암을 조각하여 만들었다.

    비로자나불(Vairocana)은《화엄경(華嚴經)》의 주존불로서

    진리 그 자체인 법신(法身)을 불상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머리는 소라 모양의 머리칼(螺髮, 나발)로 장식되었고, 그 위로 큼직하게 육계(肉髻)가 솟아있다.

    얼굴은 마멸이 심하지만 활 모양의 눈썹에 가늘고 긴 눈, 살이 많은 둥근 턱이 특징적이다.

    좁은 양어깨를 덮은 통견(通肩)의 법의는 소매 부분과 다리 아랫부분에 옷 주름이

    집중적으로 표현되었으며, 두 손은 양손을 가슴에 올리고

    오른손으로 왼손 검지 손가락을 감싼 지권인(智拳印)을 결하였다.

    대좌는 상, 중, 하대로 구성되어 있는데 중대석에 사방불(四方佛)이 조각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석탑의 부재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불상은 전반적으로 당당하지만 양감이 줄어들고 위축된 모습을 보여주며,

    거칠고 투박한 조각기법 등에서 통일신라 불상 양식을 계승한 고려시대 초기의 불상으로 추정된다.

     

    ※ 지권인(智拳印) : 지권인은 중생과 부처, 미혹함과 깨달음이 원래는 하나라는 뜻으로

    주로 비로자나불상이 취하는 손 모습)

     
     
     
     

    간송의 보물을 다시 만나다. 寶華修補(보화수보)

     

    전시기간 : 2022년 4월 16일 ~ 2022년 6월 5일

    전시장소 : 간송미술관

    주관 : 간송미술문화재단

    ※ 이번 전시 제목에서 '보화(寶華)'는 보배로운 정화를 뜻하며,

    '수보(修補)'는 낡은 것을 고치고 덜 갖춘 곳을 기우는 행위를 의미한다.

     
     
     
     

    澗松文化財의 修理와 保存(간송문화재의 수리와 보존)

    寶華修補殿(보화수보전)

     
     
     
     

    서울 보화각(葆華閣) - 간송미술관

     

    보화각은 간송 전형필(澗松 全鎣弼, 1906〜1962) 선생이 설립한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미술관으로

    한국 최초의 근대 건축가인 박길룡(朴吉龍, 1898〜1943)이 설계하고

    1938년 완공된 모더니즘(modernism) 양식의 건축물입니다.

    보화각이란 화려한 보물을 모아둔 집이라는 뜻으로 간송의 스승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 1864~1953) 선생이 간송이 수집한 문화재를 깊이 연구하고,

    세상이 보배로 여겨 후대에 영원히 전해지기를 기원하며 지은 이름입니다.

    보화각은 일제강점기에 탄생하여 우리 근현대사의 파란만장한 시간을 같이하며

    80년을 넘게 소중한 우리 문화재를 지켜 온 역사적인 건물입니다.

    이제 건물 자체가 문화유산이 된 보화각은 이번 전시(寶華修補殿, 보화수보전)를 끝으로

    보수정비공사에 들어가게 됩니다.

    비록 2층 전시장은 진열장이 비워져 있으나, 보화각이 지나온 역사와

    그 의미를 되돌아보며 수리 전 마지막 모습을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