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경산향교(慶山鄕校)
    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6. 6. 20:05

    경산향교(慶山鄕校) - 대성전, 내삼문

     

    이 향교는 고려 공양왕(恭讓王) 2년(1390)에 옥곡동에 창건(創建)하였다.

    그 후 임진왜란 때 크게 훼손되어 1681년에 신교동으로 옮겼다.

    1911년에는 경산공립보통학교(경산초등학교) 설립으로 인하여 향교의 여러 건물이 해체되었으며,

    1997년 도로 확장공사로 대성전(大成殿)과 내삼문(內三門),

    그리고 사주문(四柱門)만 현 위치로 다시 옮기게 되었다.

    본래 향교는 제향공간인 대성전(大成殿)이 있고 고을의 크기에 따라

    동무(東廡), 서무(西廡)가 있기도 하며,

    강학 공간에는 명륜당(明倫堂), 동재(東齋), 서재(西齋)가 있다.

    1998년부터 이건 복원계획에 따라 새로이 제향 공간의 동무(東廡), 서무(西廡)와

    강학 공간인 명륜당(明倫堂), 동재(東齋), 서재(西齋), 그리고 외삼문(外三門)을 신축하였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큼지막한 자연석을 세벌대로 쌓아 기단을 조성하였다.

    내삼문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작은 규모이다. 그리고 삼문 동편에 사주문이 있다.

    임진왜란 때 이 향교에 모셔진 성인(聖人)들의 위패(位牌)가 훼손될 위기에 처하자,

    당시 향교의 교복(校僕)으로 있던 강개명(姜開明)이 이분들의 위패를

    성암산(聖巖山) 석굴로 피난시켜 이를 무사히 보존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성암산(聖巖山)이라는 산명(山名)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경산향교의 본래 기능인 성현봉사(聖賢奉祀)의 제향(祭享)을

    매년 봄, 가을, 즉 음력 2월과 8월 상정일(上丁日)에

    5성(聖)과 22현(賢)에 대해 제사를 올리고 있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경산향교(慶山鄕校)

     

    향교는 조선시대 지방에서 유학(儒學)을 가르치고 인재를 양성하려고 세운 공립 교육기관으로

    지금의 중·고등학교 수준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또 공자, 맹자, 설총 등 유교와 관련된 성현(聖賢)에 대한 제향 기능도 한다.

    경산향교는 고려 공양왕 2년(1390)에 옥곡동에 세웠으나

    임진왜란 때 크게 훼손되어 1681년에 신교동으로 옮겼다.

    1911년에는 경산공립보통학교(경산초등학교)를 설립하려고 향교 안의 여러 건물을 해체하였다.

    또 1997년에 도로를 확장하는 공사로 말미암아 대성전(大成殿)과 내삼문(內三門),

    사주문(四柱門)만 현재의 자리에 옮겨 지었다

    경산향교는 제사 공간인 대성전을 앞에 두고, 교육 공간인 명륜당을 뒤쪽에 둔

    전묘후학(前廟後學)의 배치 형태가 특이하다.

    이러한 형태의 향교는 전국적으로 매우 드문 사례이다.

    임진왜란 때 이 향교에 모셔진 성현들의 위패가 상할 위험에 맞닥뜨리자,

    당시 향교 일을 맡아 보던 강개명(姜開明)이라는 사람이

    위패를 성암산(聖巖山) 범굴로 옮겨놓아 무사히 보존할 수 있었다고 전한다.

    성암산(聖巖山)이라는 이름이 여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경산향교에서는 봄, 가을, 음력 2월과 8월 첫 번째 정일(上丁日)에 공자를 비롯한

    5성(聖)과 중국 송나라 주돈이, 주희 등 4현(賢), 우리나라 설총, 최치원 등

    18현(賢)에 대한 학덕과 유풍을 기리는 제례를 올리고 있다.

     

    경상북도 경산시 향교길 14-19 (중방동) 경산향교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