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춘양목(春陽木)의 사연을 간직한 곳, 춘양역(春陽驛) 춘양역은 1941년 영암철도주식회사 소속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고, 한 차례 파괴의 과정을 거쳤으나 1955년 7월 1일 영암선 개통과 동시에 다시 영업을 재개하였다. 2006년 한국철도공사의 조직개편 때 봉화역에서 석포역까지를 관리..
장항선(長項線) 웅천역(熊川驛) 웅천역(熊川驛)은 장항선 천안기점 101.1km 지점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31년 8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개시를 하여 새마을호 이하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웅천역사는 1982년 4월 19일 준공하였다. = 충남 보령시 웅천읍 장터6길 1 (대창리) =
김유정역(金裕貞驛)-경춘선(京春線) 김유정역은 1939년 개업 당시에는 춘천시 신남면에 위치해 신남역(新南驛)으로 불렸으나 이후 이 지역 문인인 김유정을 기념하기 위해2004년 12월 김유정역(金裕貞驛)으로 변경하였으며 인물 이름을 역명으로 삼은 첫 번째 사례이기도 하다. 이 역은 특이..
북한강 옆 소박한 아름다움, 경춘선(京春線) 백양리역(白楊里驛)-폐역 백양리역(白楊里驛)은 경춘선 성북 기점 68.1km 지점에 위치한 역으로 경춘선 개통 2년 후인 1939년 7월 25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운영되다가 2004년 12월 10일 역무원이 없는 간이역(무배치 간이역)으로 전환되었다...
아름다운 간이역 경춘선(京春線) 경강역(京江驛)과 레일바이크 1939년 경춘선 개통 때 생긴 경강역(京江驛, 폐역)의 원래 이름은 서천역(西川驛)이다. 이후 충남의 서천(舒川)과 혼동될 우려가 있어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경강역은 경기도와 강원도의 접경이라는 의미다. 경강역(京江..
정동진역(正東津驛) 1962년 11월6일 검은 연기와 함께 증기기관차는 정동진나루를 가로질러 바닷가 작은 마을에 기적소리와 함께 도착했다. 당시 마을 사람들은 기차가 정차 한다는 것에 대해 지금에 느끼는 만족감 이상으로 기뻐했다. 그 사건은 마을의 경사이자 장차 다가올 신드롬의 시..
서울역(Seoul Station) 서울역(서울驛)은 한국철도공사와 코레일공항철도의 역으로, 경부선, 경의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기점이다. 1900년 7월 8일 남대문정거장역(南大門停車場驛)으로 영업을 개시하여, 1923년 1월 1일 경성역(京城驛)으로 개칭한 후, 1947년 9월 25일 서울역으로 역명이 변경되..
KORAIL 순천역(順天驛) 순천역(順天驛)은 경전선과 전라선이 합류·분기하는 역이다. 1930년 10월 25일 보통역으로 영업개시 한 후, 1950년 7월 25일 역사(驛舍)가 소실되기도 했다. 전라선의 모든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며, 부전역발 경전선 무궁화호와 광주송정발 경전선 무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