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현 객사(旌義縣 客舍) 정의현 객사(旌義縣 客舍) 정의현 객사의 주 기능은 크게 두 가지인데, 지방관이 임금에게 정기적으로 초하루와 보름에 배례(拜禮)를 올리는 곳의 기능과 중앙관리가 내려왔을 때 이곳에 머무는 숙소로서의 기능이다. 객사 건물은 이처럼 영빈관의 기능을 갖고 ..
수원 화성행궁(사적 제478호) 우화관일대 발굴조사 현장 화성행궁(우화관)복원 안내문 이곳은 고종 33년(서기 1896년) 2월 15일 설립된 120년 역사와 전통을 지닌 신풍초등학교이다. 화성행궁(우화관) 2차 복원계획에 따라 2016년 2월 25일 졸업생을 마지막으로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227-4(광교신..
안산객사(安山客舍) - 안산행궁(安山行宮) 객사(客舍)는 정청에 전패(殿牌 : 임금을 상징하는 나무패)를 모셔 국왕의 친정(親政)을 상징할 뿐 아니라 지방관이 국왕에 충성을 다짐하는 곳이었다. 고을의 수령이 집무를 보는 동헌(東軒)보다 오히려 격이 높아 관아시설 중 가장 규모가 크고 ..
안성객사(安城客舍) -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54호 안성객사(安城客舍) -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54호 객사(客舍)는 지방관아의 중심 건물로 고을 수령이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궁궐(임금)을 상징하는 전패를 놓고 절하는 의식인 망궐례(望闕禮)를 행하고,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들이 머물렀던 ..
나주목(羅州牧)의 객사(客舍) '금성관(錦城館)' 객사는 고려·조선시대에 각 고을에 설치하였던 것으로 관사 또는 객관이라고도 한다. 객사는 고려 전기부터 있었으며 외국 사신이 방문했을 때 객사에 묵으면서 연회도 가졌다. 조선시대에는 객사에 위패를 모시고, 초하루와 보름에 궁궐..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