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소리를 잘나게 하는 용뉴(龍鈕) 용뉴(龍鈕)는 범종(梵鐘)의 가장 위쪽에 있는 용의 모습을 한 고리로 이곳에 쇠줄을 달아 종을 매달게 된다. 용뉴의 용은 고래를 무서워 한다는 가상의 동물인 포뢰(葡牢)를 상징한다. 포뢰는 그 용의 이름이다. 포뢰라는 용은 용왕의 아홉 아들 중에서 셋..
용주사(龍珠寺) 범종(梵鐘) - 국보 제120호 범종각 주련 聞鐘聲煩惱斷(문종성번뇌단) 종소리를 듣고 번뇌를 끊으며 智慧長菩提生(지혜장보리생) 지혜가 증장하고 보리심이 생긴다. 용주사(龍珠寺) 범종(梵鐘) - 국보 제120호 이 종은 통일신라 (統一新羅) 말기(末期 ) 범종( 梵鐘 )으로서 우리..
봉녕사 범종루(奉寧寺 梵鐘樓)15평 규모의 목조건물인 범종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1998년 9월에 완공하였다.장대석으로 단층기단을 쌓고 난간을 둘렀으며, 내부에는 불전사물을 모두 봉안하였다.범종은 주종기에 의하면 2002년에 조성되었으며, 나머지 사물들 또한 그 ..
구룡사 범종각(龜龍寺 梵鐘閣) 범종각(梵鐘閣)에는 절에서 사용하는 4가지 중요한 불구인 사물(四物) 즉 범종(梵鐘), 법고(法鼓), 목어(木漁), 운판(雲板)을 보관하고 있는 공간으로 보통 네 가지를 함께 보관하는 경우가 많은데 어떤 사찰에서는 범종을 따로 두는 경우도 있다. 범종각(梵鐘..
직지사 범종각(直指寺 泛鐘閣) 범종각에는 절에서 사용하는 기본되는 4가지 중요한 불구인 사물 즉 범종, 법고, 목어, 운판을 보관하고 있는 공간으로 보통 네 가지를 함께 보관하는 경우가 많은데 어떤 사찰에서는 범종을 따로 두는 경우도 있다. 직지사 범종각 현판은 “범어 범(梵)”자..
금산사 범종각(金山寺 梵鐘閣) 금산사 보제루(普濟樓)에 올라가 가람 중심의 서편에 있다. 또한, 금산사 대적광전(大寂光殿)을 중심으로 하여 볼때 오른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범종각이 오른쪽에 위치하는 이유는 불교의 체용설(體用設)에 입각하여 볼 때 오른쪽은 체(體), 왼쪽은 용(..
내장사 소장 조선 동종(內藏寺 所藏 朝鮮 銅鐘) 청동(靑銅)으로 만든 이 종은 내장사(內藏寺)를 다시 세우면서 전라남도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에서 옮겨 왔다. 높이 80Cm, 종 몸체 길이 60Cm, 구경 50Cm의 소형 종이지만, 조선후기 범종(梵鐘)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종 몸체의 제일 윗부..
사물(四物)을 걸어놓은 누각, '내장사 범종각(內藏寺 梵鐘閣)' 범종루(梵鐘樓)는 다른 말로 종각(鐘閣), 범종각(梵鐘閣), 종루(鐘樓)라고도 하는데, 범종(梵鐘)과 법고(法鼓), 목어(木魚), 운판(雲版) 등 불교의 4물(四物)을 걸어놓는 누각을 말한다. 이러한 사물은 예불의식의 중요한 부분을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