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사(淸溪寺)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6호 청계사의 정확한 창건 연도는 확실히 알 수가 없다. 봉은사의 사적을 기록한 봉은본말사지(奉恩本末寺誌)에는 신라 때 창건되었다는 내용이 있으나 구체적 근거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사찰 경내에 있는 석등과 부도 일부는 신라 때 ..
청계사 극락보전(淸溪寺 極樂寶殿) 청계사 경내 가장 뒤쪽 중심에 자리잡은 극락보전(極樂寶殿)은 팔작지붕에 앞면 3칸, 옆면 2칸의 규모를 하고 있다. 기단부는 최근에 쌓은 것이지만 중수할 때 대들보에서 ‘庚子 三年 三月’이라는 글씨가 확인되어 1900년(광무 4)에 지은 것으로 추정한..
옛 부처의 도량, "우담바라 핀 청계사(淸溪寺)" 삼 천년만에 한번 울어 피어나는 꽃이로다. 아니 아니 해마다 내 눈으로 네 눈으로 피어나는 꽃이로다. 어찌 옛 인도 우담바라만 이리오.. 우리 들의 밀물 보다 너울지는 꽃이로다. - 고은 - 청계사불사연기문(淸溪寺佛事緣起文) 법계제법(法..
의왕 청계사 사적기비(義王 淸溪寺 事蹟記碑) 의왕 청계사 사적기비(義王 淸溪寺 事蹟記碑) 이 비석은 1689년(숙종 15)에 제작된 청계사의 연혁을 기록한 것으로 1689년 청계사 입구에 세워졌다. 이 비는 화강암으로 비신을 만들었고 그 위에 팔작지붕의 머릿돌을 얹은 양식을 취하고 있다. ..
청계산 청계사(淸溪山 淸溪寺)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에 있는 전통사찰인 청계사는 청계산 남쪽 태봉 자락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용주사의 말사로, 경기도문화재자료 제6호로 지정되었다. 《봉은본말지》에 통일신라 때 창건되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1284년(고려 충렬왕 10) 평양부..
청계사 지장전(淸溪寺 地藏殿) 지장보살(地藏菩薩)을 모신 전을 지장전(地藏殿), 또는 명부전(冥府殿)이라 한다. 지장전(地藏殿)에는 지장삼존상이 있다. 본존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좌협시는 '도명존자' , 우협시는 '무독귀왕'으로 배치되어 있다. 지장보살은 땅과 같이 세상 만물의 출발점..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