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양도성(漢陽都城)과 남산 봉수대(南山 烽燧臺) 서울 한양도성(漢陽都城) - 사적 제10호 한양도성은 조선왕조 도읍지인 한성부의 경계를 표시하고 왕조의 권위를 드러내며 외부의 침입을 막기 위해 축조된 성이다. 1396년(태조 5년)에 백악(북악산) · 낙타(낙산) · 목멱(남산) · 인왕..
비양도(飛陽島)의 봉수대(烽燧臺, 망루) - 제주 우도 비양도(飛陽島)의 봉수대(烽燧臺, 망루) 봉수(烽燧)는 봉(烽, 횃불)과 수(燧, 연기)라는 의미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조선시대의 군사통신시설이다. 군사목적으로 봉수를 사용 한 것은 고려시대부터라고 기록에 전해지며, 제주에서 봉수시..
우도(牛島)의 봉수대(烽燧臺, 망루) 봉수(烽燧)는 봉(烽, 횃불)과 수(燧, 연기)라는 의미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조선시대의 군사통신시설이다. 군사목적으로 봉수를 사용 한 것은 고려시대부터라고 기록에 전해지며, 제주에서 봉수시설이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본격적으로 군사적 통신시설..
수원화성(水原華城) 봉돈(烽墩) - 사적 제3호 1796년 6월 17일 완성된 수원 화성 봉돈(烽墩)은 일반적인 봉수대(烽燧臺)가 주변을 잘 살필 수 있는 산 정상에 별도의 시설로 만들어진 것과 달리 화성 성벽에 맞물려 벽돌로 만든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 성곽 양식에서는 보기 드문 형식으로 ..
양산 원적산봉수대(梁山 圓寂山烽燧臺)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석계리 산20에 있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봉수대 지금은 원적산(圓寂山)이라고 부르지는 않고 원효산(元曉山)이라 부르는데, 천성산(千聖山) 또는 소금강산(小金剛山)이라고도 부른다. 봉수대는 원효산 정상부에서 서쪽으..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