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 묘갈(鄭裕 墓碣) / 한호(韓濩) 높이 150cm, 너비 62cm, 두께 20cm 조선시대 최고 명필 중의 한 명인 석봉(石峯) 한호(韓濩, 1543~1605)가 대사헌(大司憲) 정유(鄭裕, 1503~1566) 묘갈의 앞면 큰 글씨와 뒷면 작은 글씨를 모두 쓴 것입니다. 비문은 명재상으로 이름 높던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 154..
석봉천자문(石峯千字文) 석봉(石峯) 한호(韓濩)의 여러 글씨 가운데 석봉천자문은 간명(簡明)하고 고른 필획과 정제된 자형을 잘 구사한 해서체로 손꼽을 수 있다. 특히 글씨를 배우는 초학자에게 규범적 서체를 제시한 입문서로서 큰 역할을 하였다. ‘석봉천자문’은 1583년(선조 16) 한호..
정희린(鄭姬鄰) 묘갈(墓碣) / 한호(韓濩), 1587년 조선을 대표하는 서예가 중의 한명인 석봉(石峯) 한호(韓濩, 1543~1605)가 의흥현감(義興縣監) 정희린 묘갈의 앞면 큰 글씨와 뒷면 작은 글씨를 모두 쓴 것입니다. 비문은 문장가로 명성이 높던 호봉(壺峰) 송언신(宋言愼, 1542~1612)이 짓고 아..
도산서원 전교당(陶山書院 典敎堂) 서원(書院)이란 훌륭한 사람들에게 제사지내고 유학을 공부하던 조선시대 사립교육기관을 말한다.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처음 세웠다. 전교당(典敎堂)은 서원의 중심이 되는 건물로 조선 선조 7년(1574년)에 ..
의림지(義林池) 우륵정(于勒亭) 의림지(義林池)는 전라북도 김제(金堤)의 벽제골(碧骨堤), 경상남도 밀양(密陽)의 수산제(守山堤), 경상북도 의성(義城)의 대제지(大堤池), 경상북도 상주(尙州)의 공검지(恭儉池)와 함께 고대 삼한시대(馬韓,辰韓,弁韓) 수리시설(水利施設)의 하나로 현재까..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