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사 만세루(直指寺 萬歲樓) 황악루와 함께 직지사의 2개의 누각 중에 하나인 만세루는 1800년에 소실되었던 것을 1978년에 신축하였다. 불이문(不二門) 천왕문과 대웅전 사이에 배치되는 이러한 누각은 2층은 불법을 설하는 강당으로 사용하고 아래로는 불이문, 해탈문이라 하여 누각밑..
봉정사 만세루(鳳停寺 萬歲樓)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25호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 중 하나인 봉정사(鳳停寺)는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스님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천등산(天燈山, 575.5m)은 원래 대망산(大望山)이라 불렀는데 능..
선운사 만세루(禪雲寺 萬歲樓) 선운사 만세루(禪雲寺 萬歲樓) 선운사 만세루는 긴 장방형이고 ‘누(樓)’라는 이름은 붙어 있으나, 낮은 단층 건물이다. 자연스러운 부재가 많이 사용되어 해학적인 느낌마저 주고 있다. 선운사 창건 당시부터 건립되어, 이후 여러 차례 중수되었다. 주로 ..
직지사 만세루(直指寺 萬歲樓) 황악루와 함께 직지사의 2개의 누각중에 하나인 만세루는 원래 37칸의 거대한 건물이었다고 하는데, 1800년에 화재로 전소된 것을 1978년에 신축하였다. 정면 5칸, 측면3칸의 팔작지붕으로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건물양식을 살렸다. 불이문(不二門) 천왕문과 대..
금산사 보제루(金山寺 普濟樓) 금산사 보제루는 정면 9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목조 건물이다. 이 건물은 2층의 누각으로 1층의 기둥은 8각형의 화강암 석재의 누하주(樓下柱)로 되어 있고 2층은 목재 두리기둥으로 되어 있다. 1층의 어칸과 협칸은 통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어칸..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