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사(金山寺) 방등계단(方等戒壇) 사리탑(舍利塔) 송대(松臺)라고 부르는 미륵전의 북쪽 높은 대지에 방등계단(方等戒壇)이 있다. 또한 이 계단의 중앙에 보물 제26호인 부도가 1기 있어 그 형태에 따라 석종형(石鐘形) 부도라고 부른다. 방등계단의 수계법회(受戒法會)를 거행할 때 수계..
금산사 대적광전(金山寺 大寂光殿) 대적광전은 연화장세계의 주인인 비로자나불을 본존불로 모신 건물이다. 화엄종의 맥을 계승하는 사찰에서는 주로 이 전각을 본전으로 건립하며, '화엄경'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하여 '화엄전', 비로자나불을 봉안한다고 해서 '비로전'이라고도 부른다...
금산사 명부전(金山寺 冥府殿) 명부전은 저승의 유명계를 사찰 속으로 옮겨 놓은 전각이다. 이 전각 안에 지장보살을 봉안하고 있기 때문에 지장전이라고도 하고, 유명계의 심판관인 시왕(十王)을 봉안하고 있기 때문에 시왕전이라고도 한다. 명부전은 앞면과 옆면 각 3칸씩 맞배지붕 건..
금산사 조사전(金山寺 祖師殿) 금산사(金山寺) 조사전(祖師殿)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1998년에 건립하였다. 금산사(金山寺)의 역대 조사(祖師)나 그 종파의 조사스님, 대덕스님, 사찰의 창건주, 역대 주지스님 등 해당사찰과 관련하여 후세에 존경받는 스님들의 영정(影幀)..
금산사 삼성각(金山寺 三聖閣) 삼성신앙(三聖信仰)은 불교가 한국 사회에 토착화하면서 고유의 토속신앙(土俗信仰)이 불교와 합쳐져 생긴 신앙 형태이다. 전각은 보통 사찰 뒤쪽에 자리하며, 각 신앙의 존상과 탱화를 모신다. 삼성을 따로 모실 경우에는 산신각(山神閣), 독성각(獨聖閣), ..
금산사 원통전(金山寺 圓通殿) 원통전(圓通殿)은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을 모신 전각(殿閣)이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로 팔작지붕을 올렸으며 내부에는 중안에 불단(佛壇)을 마련하고 최근에 조성한 42수 관음보살상(觀音菩薩像)을 봉안하고 있다. 또한 보살상(菩薩像) 위에는..
금산사 보제루(金山寺 普濟樓) 금산사 보제루는 정면 9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목조 건물이다. 이 건물은 2층의 누각으로 1층의 기둥은 8각형의 화강암 석재의 누하주(樓下柱)로 되어 있고 2층은 목재 두리기둥으로 되어 있다. 1층의 어칸과 협칸은 통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어칸..
금산사 범종각(金山寺 梵鐘閣) 금산사 보제루(普濟樓)에 올라가 가람 중심의 서편에 있다. 또한, 금산사 대적광전(大寂光殿)을 중심으로 하여 볼때 오른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범종각이 오른쪽에 위치하는 이유는 불교의 체용설(體用設)에 입각하여 볼 때 오른쪽은 체(體), 왼쪽은 용(..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