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순왕후(定順王后)의 애환이 서려 있는 곳, 삼각산 청룡사(三角山 靑龍寺)와 정업원유지(淨業院遺址) 청룡사는 고려 태조5년(922) 도선국사의 유언에 따라 태조왕건이 명을 내려 창건한 절이다. 풍수 지리적으로 한양의 외청룡에 해당되는 산등에 지었다고하여 절 이름을 청룡사라 하였다..
천년고찰(千年古刹) 서운산 청룡사(瑞雲山 靑龍寺) 청룡사 범종각 주련 願此鍾聲遍法界(원차종성편법계) 원컨대 이 종소리 법계에 두루 퍼져서 鐵圍幽暗悉皆明(철위유암실개명) 철위산의 깊고 어두운 무간지옥 다 밝아지며 三途離苦破刀山(삼도이고파도산) 삼도의 고통과 칼산의 고통..
청룡사 대웅전(靑龍寺 大雄殿) - 보물 제824호 古佛未生前(고불매생전) 이 세상 부처님 태어나기 전부터 凝然一相圓(응연일상원) 원래부터 상서러운 기운(근원적인 본질,원리)이 있었는데 釋迦猶未會(석가유미회) 석가모니 부처님조차도 아직 끝을 깨우치지 못하였는데 迦葉豈能傳(가섭기..
청룡사 명부전(靑龍寺 冥府殿) 청룡사(靑龍寺) 명부전(冥府殿)은 대웅전 우측에 자리 잡고 있는 건물로 19세기 경에 건립되었고 정면 3칸, 측면 1칸이다. 내부에는 ㄷ자형 불단을 두고 지장보살 및 권속을 배치하였으며 지장삼존 뒤로는 근래 조성한 후불탱을 걸어두었다. 명부전의 전서체 ..
청룡사 산신각(靑龍寺 山神閣) 靈山昔日如來觸(영산석일여래촉) 그 옛날 영산에서 부처님의 부촉 받아 威振江山度衆生(위진강산도중생) 강산에 위엄 떨쳐 중생을 제도하네. 청룡사 산신각(靑龍寺 山神閣) 불교사찰에 있는 산신각(山神閣)은 고유 신앙의 수용 차원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
안성 청룡사 삼층석탑(安城 靑龍寺 三層石塔) 이 탑은 안성 청룡사 대웅전 앞에 있는 삼층석탑으로 높이가 2.38m로 평면 사각형의 단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렸다. 이 탑은 부분적으로 파손된 지대석 위에 3단의 받침이 기단을 받치고 있다. 기단은 4장의 돌로 만들어졌는데 각 면에 모서..
청룡사 부도군(靑龍寺 浮屠群) 청룡사 부도군(靑龍寺 浮屠群) - 안성시 향토유적 제27호 이 부도군은 청룡사 입구에 있는 사적비에서 하천 건너편 산기슭에 위치해 있다. 석축의 대지위에 11개의 석조부도와 1기의 비를 안치하였는데, 대지의 한단 높인 곳에 6기를, 중간에 청룡사 취암당대..
청룡사 사적비(靑龍寺 事蹟碑)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4호 청룡사 사적비(靑龍寺 事蹟碑)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4호 이 사적비는 청룡사의 건립연대, 변천과정, 기타 사찰에 관한 사항 등을 알려주는 비석으로 조선 경종 원년(1721)에 세워 졌다. 비문의 내용은 승려 나준이 지었고 글은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