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성대 안국사(落星垈 安國祠) 안국문(安國門) 落星垈(낙성대) 박정희 대통령의 휘호(揮毫), '落星垈(낙성대)' 박정희대통령께서는 고려의 명장 강감찬장군의 나라를 위한 슬기와 용맹을 이 나라 안보의 의표로 삼게 하시고자 장군이 출생하신 이곳 관악산 기슭에 새로 유적지를 조성토록 ..
낙성대 삼층석탑(落星垈 三層石塔)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호 ‘姜邯贊 落星垈(강감찬 낙성대)’라는 명문(銘文)이 해서(楷書)로 음각(陰刻)되어 있다. 낙성대 삼층석탑(落星垈 三層石塔)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호 이 탑은 고려시대의 명장 인헌공(仁憲公) 강감찬 장군(姜邯贊 ..
강감찬 장군 기마동상(姜邯贊 將軍 騎馬銅像) 강감찬 장군 기마동상 건립 경위(姜邯贊 將軍 騎馬銅像 建立 經緯) 우리 고장 관악이 낳은 역사적 인물은 단연 인헌공 강감찬 장군이시다. 구국의 명장 강감찬장군의 나라사랑 정신을 널리 전파하고 선양하기 위하여 이곳에 장군의 동상을 세..
강감찬 생가 터(姜邯贊 生家 址) -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호 이곳은 고려시대의 명장 인헌공(仁憲公) 강감찬 장군(姜邯贊 將軍, 948~1031)이 태어난 장소다. 낙성대(落星垈)라는 이름은 강감찬 장군이 태어났을 때 큰 별이 떨어져 그 집으로 들어갔다는 일화에서 유래한 것이다. 세종실록에는 ..
강감찬(姜邯贊)장군 동상 인헌공 감감찬(仁憲公 姜邯贊, 948~1031), 본관은 금주(衿州:서울 관악구 봉천동), 초명은 은천(殷川). 983년(고려 성종 2)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예부시랑이 되었다. 1010년(현종 1) 거란의 성종이 40만 대군으로 침입하자, 조신(朝臣)들은 항복할 것을 주장하였으나,..
인헌공 강감찬장군(仁憲公 姜邯贊將軍) 동상 인헌공 감감찬(仁憲公 姜邯贊, 948~1031), 본관은 금주(衿州:서울 관악구 봉천동), 초명은 은천(殷川). 983년(고려 성종 2)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예부시랑이 되었다. 1010년(현종 1) 거란의 성종이 40만 대군으로 침입하자, 조신(朝臣)들은 항복할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