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사당(七事堂)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호 칠사당(七事堂)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호 조선시대의 관공서 건물로 일곱 가지 정사(호구, 농사, 병무, 교육, 세금, 재판, 비리 단속에 관한 일)를 베풀었다 하여 칠사당이라 불리었다. 이 건물의 최초 건립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1632년(인조 10)에 ..
강릉 임영관 삼문(江陵 臨瀛館 三門) - 국보 제51호 강릉 임영관 삼문(江陵 臨瀛館 三門) - 국보 제51호 객사란 객관(客館)이라고도 하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각 고을에 두었던 관청건물의 하나로 임영관 삼문은 객사의 정문이다. 왕이 파견한 중앙관리가 묵었던 장소로 조선시대에는 객..
강릉 금란정(江陵 金蘭亭)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5호 강릉 금란정(江陵 金蘭亭)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5호 이 정자는 조선시대 말기 이 고장의 선비인 김형진(金衡鎭)이 경포대 북쪽 시루봉 아래에 건물을 짓고, 주변에는 매화를 심어 학과 더불어 노닐던 곳이라 하여 매학정(梅鶴亭)이라 ..
상영정(觴詠亭) 상영정(觴詠亭) 1886년(고종 23)에 강릉 지역 향토유림(鄕土儒林) 16인으로 구성된 상영계(觴詠契)를 조직하고 강신(講信) 활동을 위하여 회원들이 건립하였다. 모임인 상영계에서 상영정이라는 명칭이 유래되었다. 당초에 오봉산과 영귀암 사이에 건립되었으나, 1908년(순종 2..
경호정(鏡湖亭)​ 경호정(鏡湖亭)​ 1927년에 강릉 지역의 주민들이 창회계(暢懷契)를 조직하고 강신(講信) 활동을 위하여 건립하였다. 정각은 정면 2칸, 측면 2칸의 단층 건물로, 지붕은 팔작기와지붕에 겹처마이다. 정면의 2칸은 세살문을 달았으며, 측면의 2칸은 판합문을 달았다. ..
강릉 경포대(江陵 鏡浦臺)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호 강릉 경포대(江陵 鏡浦臺)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호 경포대는 고려 충숙왕 13년(1326년) 당시 강원도 안렴사(按廉使) 박숙(朴淑)이 현 방해정(放海亭) 뒷산 인월사 옛터에 창건하였다고 전하여지고 있고 이후 현 위치로 옮겨지었다고 하..
주문진 창성식당 주문진 창성식당 집에서 먹는 음식처럼 정성스럽고 정갈한 음식을 푸짐하게 내 놓는 주문진 창성식당. 특히 이곳은 겨울철엔 "곰치국"으로 유명한 집이다. 바닷가에 가면 횟집을 많이 찾는데 반해, 이 곳은 입소문을 통해 주문진을 찾는 수도권의 관관객이 찾는 곳이다. ..
안반데기마을과 멍에전망대 안반데기는 해발 1,100m의 고산지대로 '안반데기'는 떡메로 쌀을 치는 안반처럼 우묵하면서도 널찍한 지형이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안반덕'의 강릉 사투리이며, 대기리는 큰 터가 자리하고 있어 “큰터”, “대기”라 부르며, 조선 효종 때 밀양박씨가 들어오..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