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죽헌(烏竹軒) - 보물 제165호 오죽헌은 원래 연산군 때 대사헌과 형조참판을 지낸 수재(睡齋) 최응현(崔應賢, 1428~1507)의 집이었는데, 둘째 사위인 이사온에게 상속되었다가 이사온의 딸 용인 이씨에게 상속되었다. 용인 이씨는 딸을 다섯 두었는데, 재산을 물려줄 때 외손 이이(李珥, 1537~1..
강릉 석불입상(江陵 石佛立像)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호 강릉 석불입상(江陵 石佛立像)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호 고려시대 석불입상이다. 옥천동 민가에 있던 것을 1992년 이곳으로 옮겨 놓았다. 머리 윗부분은 손상이 심하여 원래의 모습을 알 수 없다. 사각형의 납작한 얼굴에 두 눈은 ..
동양자수박물관(東洋刺繡博物館) 강릉예술창작인촌(江陵藝術創作人村) 2003년 경포 초등학교가 강릉시 교동으로 이전하면서 구 경포 초등학교 건물이 폐교 상태로 방치되었다. 이에 유휴 시설로 남아 있던 구 경포 초등학교의 부지와 건물을 2005년 강릉시가 매입한 후 2006년 건물 리모델..
진정한 쉼을 위한 단 하나의 공간, 씨마크 호텔(SEAMARQ HOTEL) 씨마크호텔은 (구)경포대 현대호텔을 리모델링한 것으로 강릉 경포대의 아름다운 동해바다와 마주하고 있으며,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 수상자인 세계적 건축가 리처드 마이어가 설계하고 최고의 시설과 서비스..
경포해수욕장(鏡浦海水浴場) 경포호 깨끗한 모래밭으로 이루어진 경포 해수욕장은 평균 수심 1~2m, 경사도 10도 안팎으로 청소년과 가족단위의 안전한 피서지로 적격하다. 이곳은 동해안 제일의 해수욕장답게 물이 깨끗하며 길이 1,800m, 폭 80m의 모래사장도 넓고 곱다. 또한 병풍처럼 바다..
강릉 3.1독립만세운동기념탑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관리번호 : 17–1-18 강릉 3.1독립만세운동기념탑은 일제강점기인 1919년 당시 전국적으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에 호응하여 강릉에서 4월부터 5월까지 연인원 10,000여명이 참가하여 거군(擧郡)적으로 일어난 강릉 3.1독립만세운동의 ..
허난설헌 생가터(許蘭雪軒 生家址) - 강릉 이광로가옥(江陵 李光魯家屋)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59호 이 가옥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여류시인 許蘭雪軒(허난설헌, 1563~1589)이 태어난 집터로 알려져 있으나 건립연대는 미상이다. 안채와 사랑채, 곳간채가 'ㅁ'자 배치를 하고 있으며, 외부를 둘..
소녀상은 위안부 할머님들의 명예와 인권 회복을 위한 평화비입니다. 어깨 위의 새 : 현재의 우리를 이어주는 매개체 발꿈치가 들린 맨발 : 위안부의 상처와 사회적 편견으로 온전히 이 땅에 발딛지 못한 삶 빈의자 : 먼저 떠나가신 할머님들을 추모하고 평화를 향한 참여 할머니의 그림자..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