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장사 당간(七長寺 幢竿) – 경기도유형문화재 제39호 칠장사 당간(七長寺 幢竿) – 경기도유형문화재 제39호 당간(幢竿)은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둔다. 깃발을 걸어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이 당간을 양쪽에서 ..
정조어필 비망기(正祖御筆 備忘記) - 경기도유형문화재 제298호 1796년(정조 20) 2월 12일 좌의정 채제공을 파직(罷職)하는 비망기이다. 1789년(정조 13)과 1790년 두 차례 영의정을 지내고 1793년(정조 17) 영의정을 역임한 채제공은 1795년 12월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다. 이때 정조가 사간원 헌납 ..
안성객사(安城客舍) -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54호 안성객사(安城客舍) -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54호 객사(客舍)는 지방관아의 중심 건물로 고을 수령이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궁궐(임금)을 상징하는 전패를 놓고 절하는 의식인 망궐례(望闕禮)를 행하고,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들이 머물렀던 ..
충렬서원(忠烈書院) - 정몽주선생(鄭夢周先生)을 배향하는 서원 백로가 까마귀 싸우는 골에 백로야 가지마라 성난 까마귀 흰빛을 새오나니 청강에 고이 씻은 몸을 더럽힐까 하노라. 포은선생 모친변한국대부인영천이씨(圃隱 先生 母親卞韓國大夫人永川李氏) 송석 정공덕화공적비(松石 ..
남한산성 청량당(南漢山城 淸凉堂) 청량당은 남한산성내 일장산 정상에 있는 서장대(수어장대)의 서편에 위치한 당우(堂宇)로서 이회(李晦)장군을 모시는 사당이다. 인조 2~4년 사이에 산성의 동남편 축조공역의 책임자로 있던 이회가 간사한 무리들의 참언때문에 사형에 처해졌는데 그 ..
효령대군 영정(孝寧大君 影幀) 조선 태종과 원경황후 민씨의 둘째 아들이자 세종대왕의 형인 효령대군(孝寧大君, 1396∼1486)의 초상화로, 가로 70㎝, 세로 90㎝의 작은 규모의 작품이다. 효령대군은 효성이 지극했으며 독서를 즐기고 활쏘기에 능하여 늘 태종을 따라 사냥터에 다녔으며, 독..
연주암 삼층석탑(戀主庵 三層石塔)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 산 12-1 연주암 대웅전 앞에 있는 높이 3.6m의 3층 석탑이다. 연주암은 통일신라 문무왕 17년(677) 의상대사가 ‘관악사(冠岳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다. 그 후 여러 차례의 단장을 거치고, 양녕대군과 효령대군이 머물면서 연주..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