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깨달음의 나무 보리수(菩提樹), 보리자나무 안양 염불사(安養 念佛寺) 보리수(菩提樹)는 석가모니가 그 나무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었다 하여 “깨달음의 나무”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인도에서는 불교 이전 고대부터 이 나무를 “숲의 왕”이라 부르며 성스러운 나무로 숭배했다. 이곳 염..
시흥 소래산 마애보살입상(始興 蘇萊山 磨崖菩薩立像) 시흥 소래산 마애보살입상(始興 蘇萊山 磨崖菩薩立像)은 소래산 중턱에 위치한 병풍바위(일명, 장군바위) 암벽에 선각(線刻)되어 있다. 머리에는 덩굴무늬(唐草紋, 당초문)가 새겨진 원통형의 화사한 보관의 양 옆으로 좁은 관대(冠..
관고리 오층석탑(官庫里 五層石塔) 관고리(官庫里) 저수지 윗쪽 밭에 도괴(倒壞)되어 각 부재(部材)가 흩어져 있던 것을 1978년에 수습, 옛 절터 앞에 복원(復元)한 것인데, 현재의 위치가 원위치(原位置)인지는 알 수 없다. 현재의 상태는 탑두부(塔頭部)와 4개의 옥신(屋身)이 모두 없어진 ..
이경석 효자정려문(李景奭 孝子旌閭門) 정려문(旌閭門)은 나라에서 충신, 효자, 열녀 등 모범이 되는 사람을 표창하고자 그 사람이 살던 마을 입구나 집 앞에 세우던 붉은 문을 말한다. 흔히 홍살문이라고도 한다. 문의 현판에는 충(忠), 효(孝), 열(烈) 등의 글자를 새겨 표창(表彰)의 종류..
김제 금산사 석련대(金堤 金山寺 石蓮臺) 통일신라 말기에서 고려시대로 넘어가는 10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 받침대이다. 석련대는 ‘돌로 만든 연화대좌’를 말한다. 높이 1.67m, 둘레 10.3m로 상대·중대·하대의 양식을 정연하게 갖추고 있다. 상대의 가운데에는 불상의 ..
연주암 삼층석탑(戀主庵 三層石塔)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 산 12-1 연주암 대웅전 앞에 있는 높이 3.6m의 3층 석탑이다. 연주암은 통일신라 문무왕 17년(677) 의상대사가 ‘관악사(冠岳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다. 그 후 여러 차례의 단장을 거치고, 양녕대군과 효령대군이 머물면서 연주..
광교저수지 - 문암골 - 광교산 형제봉 신록의 푸르름이 더해가는 싱그러운 6월의 휴일을 맞아 광교저수지 - 문암골 - 백년약수터 - 백년수정상 - 광교산 형제봉을 찾았다. 광교산의 원래 이름은 광악산(光岳山).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의 견훤과 싸워 이기고 광악산 행궁에 머물 당시광채..
권씨(權氏)와 김씨(金氏)가 쌓은 성(城) "설악산 권금성(權金城)" 권금성(權金城)은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雪嶽洞)의 산석(山石) 위에 있는 옛 성으로, 고려 때 축성된 산성으로서 설악산성(雪嶽山城), 옹금산성(擁金山城), 토토성(土土城)으로 불리기도 한다. 설악산의 주봉인 대청봉에서 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