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화성 조형물 화성(華城)은 1997년 12월 4일 국제연합 교육문화기구 (UNESCO -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에 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이란 해당 문화재가 인류 전체를 위해 보호 되어야 할 현저하고 보편적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어 유네..
수원화성(水原華城)의 설경(雪景) “수원화성(水原華城)”은 1794년에 착공하여 2년 후인 1796년 완공된 성(城)으로 조선 제22대 정조대왕(正祖大王)께서 정쟁(政爭)에 휘말려 억울하게 뒤주 속에 갇혀 생을 마감한 아버지 사도세자(思悼世子)에 대한 효성심과 강력한 왕도정치를 꿈꾸며 건설..
수원화성 동북공심돈(水原華城 東北空心墩) 동북공심돈(東北空心墩)은 수원화성의 동문인 창룡문(蒼龍門)의 북쪽, 동북노대(東北弩臺)의 서북쪽 높은 언덕 위에 자리하고 있어 비교적 너른 시야를 확보하고 있으며, 최상층에 올라서면 화성 전체의 모습이 훤히 보일 정도이다. 동북공심..
수원화성(水原華城) “수원화성(水原華城)”은 1794년에 착공하여 2년 후인 1796년 완공된 성(城)으로 조선 제22대 정조대왕(正祖大王)께서 정쟁(政爭)에 휘말려 억울하게 뒤주 속에 갇혀 생을 마감한 아버지 사도세자(思悼世子)에 대한 효성심과 강력한 왕도정치를 꿈꾸며 건설한 효의 성곽..
소라처럼 생긴 "수원화성 동북공심돈 (水原華城 東北空心墩)" 공심돈(空心墩)은 성곽 주위와 비상시에 적의 동향을 살피기 위한 망루와 같은 것으로 화성에서 처음 나타났다. 화성에는 서북공심돈, 남공심돈, 동북공심돈 등 세개를 만들었다. 동북공심돈은 그 형태가 커다란 둥근 원의 모..
은은한 조명 빛에 엷은 미소를 짓는 "동북공심돈(東北空心墩)" 동북공심돈(東北空心墩)은 화성의 2개 공심돈(空心墩)중 하나로 창룡문과 동장대(東將臺) 사이에 있다. 내부가 속이 비어있고 나선형 모습으로 되어 있어 일명 "소라각" 이라고도 한다. 공심돈은 전시에 사용되는 관측소로써 ..
서북공심돈 (西北空心墩, Northwest Observation Tower) 사적 제3호로 지정된 수원화성(水原華城)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도 등록된 우리나라 성곽 건축의 백미라 할수 있는 건축물로 수원화성을 인상 깊게하고 수원화성 축조를 주도한 18세기 지식인들의 정신세계를 가장 상징적으로 대변..
세계문화유산 "화성"의 설경과 야경...... 장안문 화서문과 서북공심돈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