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성대 안국사(落星垈 安國祠) 안국문(安國門) 落星垈(낙성대) 박정희 대통령의 휘호(揮毫), '落星垈(낙성대)' 박정희대통령께서는 고려의 명장 강감찬장군의 나라를 위한 슬기와 용맹을 이 나라 안보의 의표로 삼게 하시고자 장군이 출생하신 이곳 관악산 기슭에 새로 유적지를 조성토록 ..
낙성대 삼층석탑(落星垈 三層石塔)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호 ‘姜邯贊 落星垈(강감찬 낙성대)’라는 명문(銘文)이 해서(楷書)로 음각(陰刻)되어 있다. 낙성대 삼층석탑(落星垈 三層石塔)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호 이 탑은 고려시대의 명장 인헌공(仁憲公) 강감찬 장군(姜邯贊 ..
강감찬 장군 기마동상(姜邯贊 將軍 騎馬銅像) 강감찬 장군 기마동상 건립 경위(姜邯贊 將軍 騎馬銅像 建立 經緯) 우리 고장 관악이 낳은 역사적 인물은 단연 인헌공 강감찬 장군이시다. 구국의 명장 강감찬장군의 나라사랑 정신을 널리 전파하고 선양하기 위하여 이곳에 장군의 동상을 세..
강감찬 생가 터(姜邯贊 生家 址) -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호 이곳은 고려시대의 명장 인헌공(仁憲公) 강감찬 장군(姜邯贊 將軍, 948~1031)이 태어난 장소다. 낙성대(落星垈)라는 이름은 강감찬 장군이 태어났을 때 큰 별이 떨어져 그 집으로 들어갔다는 일화에서 유래한 것이다. 세종실록에는 ..
관음기도도량(觀音祈禱道場) 관악산 관음사(冠岳山 觀音寺) 卽心是佛(즉심시불) 즉심시불은 즉심즉불(卽心卽佛)·심즉시불(心卽是佛)·시심즉불(是心卽佛)이라고도 한다. 마음은 범부의 경우나 부처의 경우나 그 자체는 다름이 없어서 그 마음이 그대로 부처라는 뜻이다. 즉심시불에서 ..
광장형 휴게공원, 남현예술정원(南峴藝術庭園) ‘남현예술정원’이라는 공원 명칭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일대에 위치한 예술인 마을 상징성과 다양한 형태의 공연 및 행사 등을 개최할 수 있는 공원이라는 의미를 담아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선정한 곳으로 ‘남현예술정원..
서울 남현동 요지(南峴洞 窯址) - 사적 제247호 서울 남현동 요지(南峴洞 窯址) - 사적 제247호 시대 :백제 중기~후기(추정) 이곳은 규모가 1,988㎡로 백제 때 질그릇를 굽던 가마터로, 1973년 4월에 발견되어 1976년 4월 10일 사적 제247호로 지정되었다. 이곳에서는 질그릇 조각들이 불에 탄 흙과 ..
‘갓 모습의 산’이란 뜻의 관악산(冠岳山, 632m) 관악산(冠岳山)은 서울의 조산이다. 관악산은 청계산·삼성산과 함께 옛 금천의 진산(鎭山)인 금지산경(衿芝山經)을 이루는데, 이 산경의 최고봉이기도 하다. 산봉우리의 모양이 불과 같아 풍수적으로 화산이 된다. 빼어난 수십개의 봉우리..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