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감찬 장군 기마동상(姜邯贊 將軍 騎馬銅像) 강감찬 장군 기마동상 건립 경위(姜邯贊 將軍 騎馬銅像 建立 經緯) 우리 고장 관악이 낳은 역사적 인물은 단연 인헌공 강감찬 장군이시다. 구국의 명장 강감찬장군의 나라사랑 정신을 널리 전파하고 선양하기 위하여 이곳에 장군의 동상을 세..
경복궁 근정전 일원(景福宮 勤政殿 一圓) 영제교(永濟橋) 궁궐 안에 있는 어구(御溝)를 금천(禁川)이라고 하고 그 위에 놓인 다리를 일반적으로 금천교(禁川橋)라고도 불렀는데, 경복궁의 금천교를 영제교(永濟橋), 창덕궁의 금천교를 금천교(錦川橋), 창경궁의 금천교를 옥천교(玉川橋)라..
경희궁(慶熙宮)과 금천교(禁川橋) 경희궁은 조선 후기 왕들이 임시로 거처했던 이궁(離宮)으로 1617년(광해군 9년)에 창건하여 1620년(광해군 12년)에 완공하였다. 처음에는 경덕궁(慶德宮)이라 하였으나, 1760년(영조 36년)에 경희궁으로 고쳐 불렀으며, 도성의 서쪽에 있다하여 서궐(西闕)이라..
그리움의 고향, 삼강(三江)마을 경북 예천에는 세 물줄기가 모이는 곳이 있다. 태백에서 발원하는 낙동강, 봉화에서 발원하는 내성천, 문경에서 발원하는 금천. 이 곳을 삼강(三江)이라고 한다. 삼강마을은 김해에서 소금을 싣고 낙동강을 따라 이곳 삼강나루까지 소금배가 올라와 물건을 ..
인헌공 강감찬장군(仁憲公 姜邯贊將軍) 동상 인헌공 감감찬(仁憲公 姜邯贊, 948~1031), 본관은 금주(衿州:서울 관악구 봉천동), 초명은 은천(殷川). 983년(고려 성종 2)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예부시랑이 되었다. 1010년(현종 1) 거란의 성종이 40만 대군으로 침입하자, 조신(朝臣)들은 항복할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