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산국립공원 내장사(內藏山國立公園 內藏寺) 내장사 일주문(內藏寺 一柱門) 일주문은 산문(山門)이니 여기서부터는 절안이다. 일주문을 넘어서는 바로 이순간은 온갖 번뇌와 망상, 혼란한 생각을 여의고 깨달음의 일념으로 들어선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入地門來 莫存知解! 이 ..
내장사 정혜루(內藏寺 定慧樓) 정혜루는 내장사(內藏寺)의 문루(門樓)로 사세(寺勢)가 한창 번영할 때인 1468년(세조 13년)에 세워졌는데, 성임(成任, 1421~1484)의 정혜루기에는 이렇게 전한다. 누의 처마와 기둥은 날아갈 듯하고 창과 난간은 성글어 시원하여 그 규모가 장엄하고 아름다움이 ..
내장사 천왕문(內藏寺 天王門) 천왕문(天王門)은 불법을 수호하고 악귀를 막기 위해 부처님이 계신 수미산 동서남북의 입구를 지키는 사천왕을 모신 전각이다. 동쪽의 지국천왕(持國天王)은 비파를 들고 음악을 연주하며 중생을 편안하게 하여 불도로 이끌고 나라를 수호하는 천왕이다. ..
내장사 부도전(內藏寺 浮屠殿) 초창기 영은사(靈隱寺)의 가람터로 알려진 내장사 부도전에는 영은사를 부흥시킨 신암, 해선 두 선사의 유골사리와 24기의 부도 및 탑비 16개가 있다. 1923년 학명(鶴鳴) 스님이 경내에 흩어져 있던 부도를 한 곳에 모셨다. 부도(浮屠)란 고승(高僧)들의 사리(舍..
해동제일명승 관음기도도량, 내장산 내장사 내장사는 지금으로부터 1300년 전 백제 제30대 무왕(600-640)37년인 서기 636년(백제멸망 660년 24년 전)에 당시 도승이신 영은조사께서 지금의 절 입구 부도전 일대로 추정되는 자리에 대웅전 등 50여동에 이르는 대가람으로 백제인의 신앙적 원찰로..
절정에 달한 내장산 단풍 내장사 단풍이 절정에 달했다. 내장산에는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단풍나무 중 당단풍과 좁은 단풍, 털참단풍, 고로쇠, 왕고로쇠, 신나무, 복자기 등 11종이 서식하고 있는데, 단풍터널은 일주문에서 내장사에 이르는 구간으로 단풍나무들이 발산하는 붉은 빛..
대한불교조계종(大韓佛敎曹溪宗) 내장산 내장사(內藏山 內藏寺) 원래 내장사(內藏寺)에는 636년(백제 무왕 37) 영은조사(靈隱祖師)가 50여 동의 대가람으로 창건한 영은사(靈隱寺)와 660년(백제 의자왕 20) 유해선사(幼海禪師)가 세운 내장사(內藏寺)가 있었다. 1539(중종 34) 내장산(內藏山)에서..
내장산 국립공원(內藏山 國立公園) 내장산(內藏山,해발 763m)은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동·입암면, 순창군 복흥면,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의 경계에 있는 산. 노령산맥의 중앙에 솟아 있으며, 주봉인 신선봉을 비롯하여 월령봉· 서래봉· 연지봉· 장군봉 등 600~700m의 기암괴봉들이 동쪽..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