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장사 삼성각(內藏寺 三聖閣) 삼성신앙(三聖信仰)은 불교가 한국 사회에 토착화하면서 고유의 토속신앙(土俗信仰)이 불교와 합쳐져 생긴 신앙 형태이다. 전각은 보통 사찰 뒤쪽에 자리하며, 각 신앙의 존상과 탱화를 모신다. 삼성을 따로 모실 경우에는 산신각, 독성각, 칠성각 등의 전각..
사물(四物)을 걸어놓은 누각, '내장사 범종각(內藏寺 梵鐘閣)' 범종루(梵鐘樓)는 다른 말로 종각(鐘閣), 범종각(梵鐘閣), 종루(鐘樓)라고도 하는데, 범종(梵鐘)과 법고(法鼓), 목어(木魚), 운판(雲版) 등 불교의 4물(四物)을 걸어놓는 누각을 말한다. 이러한 사물은 예불의식의 중요한 부분을 ..
스님이 열반(涅槃)하신 후 사리를 모시는 곳, 내장사 부도전(內藏寺 浮屠殿) 초창기 영은사(靈隱寺)의 가람터로 알려진 내장사 부도전(內藏寺 浮屠殿)에는 영은사를 부흥시킨 신암, 해선 두 선사의 유골사리와 16좌의 석종형 부도와 석탑 1좌, 탑비 16개가 있다. 부도(浮屠)란 고승(高僧)들의..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을 모신 전각, 내장사 관음전(內藏寺 觀音殿) 큰 자비(慈悲)의 어머니이신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을 모신 전각으로 전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내장사 관음전에는 천수천안관자재보살상(千手千眼觀自在菩薩像)이 모셔져 있다. 관세음보살(觀世音菩..
내장사 진신사리탑(內藏寺 眞身舍利塔) 부처님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모신 3층 석탑으로 1997년 주지 범여스님이 조성하였다. 1932년 영국의 고고학 발굴조사단에 의해 발굴된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인도의 고승 지나라타나 스님의 주선으로 내장사에 봉안하게 되었다. 사리(舍利)란 범어(..
대한불교조계종(大韓佛敎曹溪宗) 내장사 정혜루(內藏寺 定慧樓) 정혜루(定慧樓)는 내장사(內藏寺)의 문루(門樓)로 사세(寺勢)가 한창 번영할 때인 1468년(세조 13년)에 세워졌는데, 성임(成任, 1421~1484)의 정혜루기에는 이렇게 전한다. 누의 처마와 기둥은 날아갈 듯하고 창과 난간은 성글어 ..
정자에 날개가 돋아 승천하였다는 우화정(羽化亭) 내장산 진입로에 있는 우화정은 정자에 날개가 돋아 승천(昇天)하였다는 전설이 있어 '우화정(羽化亭)'이라고 부른다. 이곳은 1482년 무렵 내장산성(內藏山城)이 있었던 곳으로 승군(僧軍)과 왜적(倭敵)이 격렬한 전투를 벌인 장소이다. 오..
속세와 불계의 경계 역할, 내장산 내장사 일주문(內藏山 內藏寺 一柱門) 일주문은 산문(山門)이니 여기서부터는 절 안이다. 속세와 불계의 경계 역할을 하는 상징물로 일주문을 넘어서는 순간부터 온갖 번뇌와 망상, 혼란한 생각을 버리고 깨달음의 일념으로 들어선다는 것을 의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