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정사 만세루(鳳停寺 萬歲樓)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25호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 중 하나인 봉정사(鳳停寺)는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스님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천등산(天燈山, 575.5m)은 원래 대망산(大望山)이라 불렀는데 능..
성 내외의 동태를 살피던 곳, 수원화성 내포사(水原華城 內鋪舍) 성 내외의 동태를 살피던 곳, 수원화성 내포사(水原華城 內鋪舍) 내포사는 팔달산 기슭의 행궁 뒷담 안 왼쪽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미로한정(未老閒亭)으로부터 북쪽으로 약 50보(약 59.4m) 떨어진 곳에 위치한 건물이다. 1796..
봉녕사 범종루(奉寧寺 梵鐘樓)15평 규모의 목조건물인 범종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1998년 9월에 완공하였다.장대석으로 단층기단을 쌓고 난간을 둘렀으며, 내부에는 불전사물을 모두 봉안하였다.범종은 주종기에 의하면 2002년에 조성되었으며, 나머지 사물들 또한 그 ..
수원화성 내포사(水原華城 內鋪舍) 내포사는 팔달산 기슭의 행궁 뒷담 안 왼쪽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미로한정(未老閒亭)으로부터 북쪽으로 약 50보 떨어진 곳에 위치한 건물이다. 1796년(정조 20년) 9월 9일에 완성되었으며, 건물의 높이는 7척 5촌이다. 성 내외의 동태를 살피면서 위급한 ..
구룡사 범종각(龜龍寺 梵鐘閣) 범종각(梵鐘閣)에는 절에서 사용하는 4가지 중요한 불구인 사물(四物) 즉 범종(梵鐘), 법고(法鼓), 목어(木漁), 운판(雲板)을 보관하고 있는 공간으로 보통 네 가지를 함께 보관하는 경우가 많은데 어떤 사찰에서는 범종을 따로 두는 경우도 있다. 범종각(梵鐘..
직지사 범종각(直指寺 泛鐘閣) 범종각에는 절에서 사용하는 기본되는 4가지 중요한 불구인 사물 즉 범종, 법고, 목어, 운판을 보관하고 있는 공간으로 보통 네 가지를 함께 보관하는 경우가 많은데 어떤 사찰에서는 범종을 따로 두는 경우도 있다. 직지사 범종각 현판은 “범어 범(梵)”자..
금산사 범종각(金山寺 梵鐘閣) 금산사 보제루(普濟樓)에 올라가 가람 중심의 서편에 있다. 또한, 금산사 대적광전(大寂光殿)을 중심으로 하여 볼때 오른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범종각이 오른쪽에 위치하는 이유는 불교의 체용설(體用設)에 입각하여 볼 때 오른쪽은 체(體), 왼쪽은 용(..
사물(四物)을 걸어놓은 누각, '내장사 범종각(內藏寺 梵鐘閣)' 범종루(梵鐘樓)는 다른 말로 종각(鐘閣), 범종각(梵鐘閣), 종루(鐘樓)라고도 하는데, 범종(梵鐘)과 법고(法鼓), 목어(木魚), 운판(雲版) 등 불교의 4물(四物)을 걸어놓는 누각을 말한다. 이러한 사물은 예불의식의 중요한 부분을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