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성 진남루(公山城 鎭南樓) 공산성의 남문으로 조선시대에는 삼남의 관문이었다. 토성이었던 공산성을 조선 초기에 석성으로 다시 쌓으면서 세운 문루이나, 그 뒤에도 여러 차례 고쳐지었는데 지금의 건물은 1971년에 전부 해체하여 복원한 것이다. 높은 축대 위에 앞면 3칸, 옆면 2칸 ..
지리산(智異山) 산신제(山神祭)를 지내는 사당(祠堂), "남악사(南岳祠)"지리산 산신제를 지내는 사당이다.지리산은 삼국시대부터 신라오악(新羅五嶽) 중 하나인 남악(南嶽)으로 신성하게 여기는 산이다.신라 때는 천왕봉에서 산신제를 올렸고 고려 때는 노고단에서 산신제를 지낸 것으로 ..
임경업장군 비각(林慶業將軍 碑閣) 낙안읍성 내의 객사로 들어가는 입구 도로가에 있는 한 채의 비각과 그 안에 서 있는 비로, 임경업 장군의 선정을 기리고 있다. 임경업(1594∼1646)은 조선시대 중기의 명장으로, 인조 4년(1626) 이곳 전라도 낙안지역의 군수로 부임해왔다. 인조 6년(1628) 3월 ..
울릉도 도동리 신묘명 각석문(鬱陵島 道東里 辛卯銘 刻石文) 이 비석은 1937년 도동(道東) 축항(築港)공사 때 바다에서 인양(引揚)한 비석이다. 당시 2개가 있었으나 현재는 1기(基)만이 남아있다. 각석문의 내용 중 “삼척영장 겸 첨절제사(三陟營將 兼 僉節制使) 박석창(朴錫昌)”은 1711년 1..
소래철교(蘇萊鐵橋)와 장도포대지(獐島砲臺地) 소래철교(蘇萊鐵橋)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과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에 위치한 소래철교(蘇萊鐵橋)는 태평양전쟁(太平洋戰爭)당시 일제(日帝)가 서해안에서 생산되는 소금과 곡물을 수탈(收奪), 인천항(仁川港)을 통해 반출하기 위한 목..
마곡사(麻谷寺) 천왕문(天王門) 마곡사 입구에 있는 천왕문(天王門)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천장은 지붕의 뼈대가 그대로 드러나 있는 연등천장으로 꾸몄고, 안쪽에는 동서남북 4지역을 지키는 사천왕상(..
마곡사 해탈문(麻谷寺 解脫門) 마곡사는 백제 무왕 41년(640)에 자장율사(慈裝律師)가 세웠다고 전한다. 해탈문(解脫門)은 마곡사(麻谷寺)의 정문으로 이 문을 지나면 속세(俗世)를 벗어나 불교 세계에 들어가게 되고, 해탈(解脫)을 하겠다는 마음을 갖게 된다고 한다. 중앙 통로 양쪽 편에 ..
나주목(羅州牧)의 관아문(官衙門) '정수루(正綏樓)' 정수루(正綏樓)는 나주목(羅州牧) 관아문(官衙門)으로 1603년(선조 36)에 나주목사(羅州牧使)로 부임한 동계 우복룡(禹伏龍, 1602.10.~ 1605.1 재임)이 건립한 것으로 전해진다. 지금 남아 있는 건물은 구조나 양식 등으로 보아 19세기에 크게 중..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